2023년 2월 22일 수요일

[민사집행 압류] 전부명령 송달 후 집행채권이 압류된 사건


대법원 2023. 1. 12. 20226107   채권압류 전부명령

 

1. 판결의 요지

 

세무서가 전부명령이 확정되기 즉시항고 절차 단계에서 집행채권을 압류한 경우, 채권압류명령의 집행장애사유는 아니지만, 전부명령의 집행장애사유에 해당하므로, 재항고인이 위와 같은 집행장애사유가 있다는 것을 당초에 즉시항고사유로 삼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원심으로서는 1심의 전부명령을 취소하고 채권자의 전부명령신청을 기각하였어야 한다는 이유로, 원심결정 전부명령을 인가한 부분을 파기하고 전부명령 신청을 기각한 판결(압류명령을 인가한 부분은 재항고를 기각함)입니다.

 

2. 적용법리

 

. 집행채권이 국세징수법에 기하여 압류된 경우 압류명령의 집행장애사유에 해당하는지(소극)

 

채권압류명령은 집행채권의 현금화나 만족적 단계에 이르지 아니하는 보전적 처분으로서 집행채권에 대한 압류의 효력에 반하지 않으므로, 집행채권에 대한 압류는 집행채권자가 채무자를 상대로 채권압류명령의 집행장애사유가 없고(대법원 2000. 10. 2. 20005221 결정, 대법원 2016. 9. 28. 선고 2016205915 판결 참조), 이는 국가가 국세징수법에 의한 체납처분으로 체납자의 채무자에 대한 집행채권을 압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 경우 전부명령의 집행장애사유에 해당하는지(적극)

 

집행채권자의 채권자가 집행권원에 표시된 집행채권을 압류 또는 가압류, 처분금지가처분을 경우에는 압류 등의 효력으로 집행채권자의 추심, 양도 등의 처분행위와 채무자의 변제가 금지되고 이에 위반되는 행위는 집행채권자의 채권자에게 대항할 없게 되므로 집행기관은 압류 등이 해제되지 않는 집행할 없는 것이니 이는 집행장애사유에 해당하고(대법원 2000. 10. 2. 20005221 결정, 대법원 2016. 9. 28. 선고 2016205915 판결 참조), 국가가 국세징수법에 의한 체납처분으로 체납자의 채무자에 대한 집행채권을 압류한 경우에도 체납자의 양도 등의 처분행위와 해당 채무자의 변제가 금지되므로(국세징수법 43 참조), 집행장애사유에 해당한다.

 

. 전부명령 송달 즉시항고 절차에서 집행채권이 압류된 경우 항고법원이 해야 조치(=전부명령 취소)

 

한편 집행법원은 강제집행의 개시나 속행에 있어서 집행장애사유에 대하여 직권으로 존부를 조사하여야 한다. 집행개시 전부터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집행의 신청을 각하 또는 기각하여야 하고, 만일 집행장애사유가 존재함에도 간과하고 강제집행을 개시한 다음 이를 발견한 때에는 이미 집행절차를 직권으로 취소하여야 한다(대법원 2000. 10. 2. 20005221 결정, 대법원 2016. 9. 28. 선고 2016205915 판결 참조). 그리고 집행개시 당시에는 집행장애사유가 없었더라도 집행 종료 집행장애사유가 발생한 때에는 만족적 단계에 해당하는 집행절차를 진행할 없으므로, 전부명령이 3채무자에게 송달되었으나 확정되기 즉시항고 절차 단계에서 집행채권이 압류되는 등으로 집행장애사유가 발생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항고법원은 전부명령을 직권으로 취소하여야 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