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9일 토요일

[회사법무 최저임금] 택시운전근로자들이 만근일을 초과하여 근무한 날의 근로시간에 대해서도 최저임금이 지급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


대법원 2024. 10. 8. 선고 2021304779(본소), 304786(반소)   임금(본소), 사납금청구(반소)

 

1. 판결의 요지

 

피고(반소원고, 이하피고’) 수원시에서 일반택시운송사업을 영위하는 회사이고, 원고(반소피고, 이하원고’)들은 피고에 고용되어 택시운전근로자로 근무하며 정액사납금제 방식으로 임금을 지급받다가 퇴직한 사람들입니다. 일반택시 운전근로자의 최저임금에 산입되는 임금에서 생산고에 따른 임금을 제외하는 최저임금법 6 5항이 2010. 7. 1.부터 피고가 소재한 수원시 지역에 시행되었고, 무렵부터 피고의 사업장에서는 일련의 임금협정을 통해 순차로 소정근로시간을 단축하는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원고들은 본소로써 소정근로시간 단축 합의가 무효라고 주장하면서, 2016. 7.부터 각자의 퇴직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한 최저임금 미달액과 이를 반영해 재계산한 평균임금을 기초로 퇴직금 차액의 지급을 청구하였습니다. 피고는 예비적 반소로써 소정근로시간 단축 합의가 무효라면 임금협정의 사납금 관련 합의도 무효라고 주장하면서, 증액되었을 사납금 상당액의 지급을 청구하였습니다. 

 

원심은, 사건 소정근로시간 단축 합의가 무효라고 판단한 다음, 원고들이 만근일을 초과하여 근로한 날의 근로시간까지 최저임금 지급 대상 시간에 포함시켜 최저임금 미달액을 계산하여, 본소 청구를 모두 인용하고 예비적 반소 청구를 모두 기각하였습니다.

 

대법원은 아래와 같은 법리를 설시하면서, 제반 사정을 고려할 2010 임금협정에서 근로일수에 대해 25 만근(2월은 23 또는 24)이라고 정한 것은 소정의 근로일을 정하는 취지로서 원고들이 만근일을 초과하여 근로한 날의 근로시간이 최저임금 지급 대상 시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여지가 크다고 보아,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근로자가 소정의 근로일에 해당하지 않는 날에 근로한 경우, 근로한 시간이 최저임금액 이상의 임금을 지급해야 하는 시간에 포함되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최저임금법 6 5, 「최저임금법 시행령」(2018. 12. 31. 대통령령 29469호로 개정되기 전의 , 이하 같다) 5조의2 단서 1호는 일반택시운송사업에서 운전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최저임금에 산입되는 임금(최저임금의 적용을 위한 임금으로서 이하비교대상 임금이라 한다) 범위에 관하여 소정근로시간 또는 소정의 근로일에 대하여 지급하는 임금 외의 임금을 산입하지 아니한다고 정한다. 그리고 「최저임금법 시행령」 5 1 3호는 비교대상 임금 단위로 지급된 임금을 ‘1개월의 소정근로시간 나누어 시간에 대한 임금으로 환산하도록 정한다[저임금법 시행령(2018. 12. 31. 대통령령 29469호로 개정되어 2019. 1. 1.부터 시행된 ) 5조의3 단서 1, 5 1 3호의 내용도 이와 유사한데, 다만 단위로 지급된 비교대상 임금을 소정근로시간 수에 주휴시간 수를 합산한 시간 수로 나누어 시간에 대한 임금으로 환산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이러한 최저임금법령의 규정 내용과 취지를 고려하면, 소정의 근로일에 해당하지 않는 날에 근로자가 근로하였더라도 근로한 시간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최저임금액 이상의 임금을 지급해야 하는 시간(이하최저임금 지급 대상 시간이라 한다)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대법원 2023. 11. 2. 선고 2018965 판결, 대법원 2024. 7. 25. 선고 2023223744, 223751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