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4월 6일 월요일

[형사재판 강제추행] 피고인이 직장 노래방에서 여성인 피해자를 옆에 앉힌 다음 피해자의 허벅지를 손으로 쓰다듬은 행위에 대하여 강제추행죄의 성립이 인정된 판결


대법원 2020. 3. 26. 선고 201915994 판결

1. 판결의 요지

대법원은 이직장 회식 자리에서 이루어진 신체접촉을 강제추행이 아니라고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함으로써, 기습추행이 강제추행죄에 해당하기 위한 요건 강제추행이 되기 위해서는 피해자가 자리에서 즉각 거부의사를 밝혀져야 하는지 여부에 관한 종전의 법리를 재차 확인하고 이를 명확히 판결입니다.

2. 적용 법리

강제추행죄는 상대방에 대하여 폭행 또는 협박을 가하여 항거를 곤란하게 뒤에 추행행위를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폭행행위 자체가 추행행위라고 인정되는 이른바 기습추행의 경우도 포함된다. 특히 기습추행의 경우 추행행위와 동시에 저질러지는 폭행행위는 반드시 상대방의 의사를 억압할 정도의 것임을 요하지 않고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는 유형력의 행사가 있기만 하면 힘의 대소강약을 불문한다는 것이 일관된 판례의 입장이다.

이에 따라 대법원은, 피해자의 위로 엉덩이나 가슴을 쓰다듬는 행위(대법원 2002. 8. 23. 선고 20022860 판결),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어깨를 주무르는 행위(대법원 2004. 4. 16. 선고 200452 판결), 교사가 여중생의 얼굴에 자신의 얼굴을 들이밀면서 비비는 행위나 여중생의 귀를 쓸어 만지는 행위(대법원 2015. 11. 12. 선고 20128767 판결) 등에 대하여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는 유형력의 행사가 이루어져 기습추행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있다.

3. 법원의 판결

원심은 무죄의 근거로서 피고인이 피해자의 허벅지를 쓰다듬던 당시 피해자가 즉시 피고인에게 항의하거나 반발하는 등의 거부의사를 밝히는 대신 자리에 가만히 있었다는 점을 중시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성범죄 피해자의 대처 양상은 피해자의 성정이나 가해자와의 관계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대법원 2018. 10. 25. 선고 20187709 판결, 대법원 2019. 7. 11. 선고 20182614 판결 참조)에서 원심이 들고 있는 사정만으로는 강제추행죄의 성립이 부정된다고 보기 어렵다. 피해자가 피고인에게 즉시 거부의사를 밝히지 않았다고 하지만, 반대로 피해자가 피고인의 행위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동의한 바도 없었음이 분명하고, 피고인의 신체접촉에 대해 피해자가 묵시적으로 동의하였다거나 의사에 반하지 않았다고 만한 근거 역시 찾아볼 없기 때문이다. 나아가 사건 당시 피고인의 행위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항의하지 아니한 이유에 관하여, 피해자는 경찰 조사시수치스러웠다. 이런 적이 한번도 없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 검찰 조사시짜증이 나고 성적으로 수치심이 들었다. 피고인은 회사 대표이고 피해자는 밑에서 일하는 직원이라서 적극적으로 항의하지 못했다 진술하였다. 이처럼 당시는 다른 직원들도 함께 회식을 하고나서 노래방에서 여흥을 즐기던 분위기였기에 피해자가 즉시 거부의사를 밝히지 않았다고 하여, 피고인의 행위에 동의하였다거나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지 아니하였다고 쉽게 단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