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 24일 금요일

[회사법무 보험계약] 보험약관의 해석이 문제된 사건


대법원 2023. 10. 12. 선고 2020232709(본소), 2020232716(반소)   채무부존재확인(본소), 보험금(반소)

 

1. 판결의 요지

 

망인은 자신을 피보험자로 원고(반소피고) 사이에 ()장기간병요양진단비를 보험금으로 지급하는 내용의 사건 보험계약을 체결하였는데, 사건 보험계약에 편입된 보통약관은 (1) 피보험자가 보험기간 사망할 경우 사건 보험계약은 소멸한다, (2) 보험금은   피보험자가보험기간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대상으로 인정되었을 경우지급하고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대상으로 인정되었을 경우 함은국민건강보험공단 등급판정 위원회에 의하여 1등급, 2등급 또는 3등급의 장기요양등급을 판정받은 경우를 말한다.’ 규정하고 있습니다.

 

망인은 2017. 6. 1.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인정을 신청하였는데,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7. 6. 8. 망인이 입원해 있던 병원에 방문하여 실사를 2017. 6. 21. 망인에 대한 장기요양등급을 1등급으로 판정하였는데, 망인은 2017. 6. 8. 23:25 사망하였습니다.

 

원심은, 사건 보험계약에서 정한보험기간 보험사고(등급판정) 발생 장기요양등급 판정의 원인이 되는 사실로서 피보험자의 건강상태가 장기요양을 필요로 하는 정도임이 확인되면 충분하고, 장기요양등급 판정일이 보험계약의 효력이 소멸한 피보험자의 사망 후라도 달리 없다고 판단하였는데, 대법원은, 사건 보험계약이 정한 보험금 지급사유로서피보험자가 보험기간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대상으로 인정되었을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피보험자가 보험기간 국민건강보험공단 등급판정위원회에 의하여 장기요양등급을 판정받은 경우 말하고, 피보험자가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대상에 해당할 정도의 심신상태임이 확인되었다고 하더라도 장기요양등급 판정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보험계약이 소멸하였다면 보험기간 보험금 지급사유가 발생하였다고 없다고 보아 원심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보험약관 해석의 기준 방법

 

보험계약의 주요한 부분인 보험사고나 보험금액의 확정절차는 보험증권이나 약관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보통이고, 보험증권이나 약관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에 더하여 당사자가 보험계약을 체결하게 경위와 과정, 동일한 종류의 보험계약에 관한 보험회사의 실무처리 관행 여러 사정을 참작하여 결정하여야 한다(대법원 2008. 11. 13. 선고 200719624 판결, 대법원 2014. 6. 12. 선고 2013208661 판결 참조). 한편 보험약관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당해 약관의 목적과 취지를 고려하여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해석하되, 개개의 계약당사자가 기도한 목적이나 의사를 참작함이 없이 평균적 고객의 이해가능성을 기준으로 보험단체 전체의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객관적획일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대법원 2010. 11. 25. 선고 201045777 판결, 대법원 2020. 10. 15. 선고 2020234538, 234545 판결 참조). 보험약관이 비록 보험자가 다수의 보험계약자와 계약을 체결하기 위하여 일방적으로 마련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보험약관의 내용 등이 보험계약자의 정당한 이익과 합리적인 기대에 반할 아니라 사적자치의 한계를 벗어나는 무효라고 만한 사정이 없다면, 법원이 이를 함부로 배척하거나 보험약관 내용을 목적과 취지 등과 달리 개별 사건마다 임의로 해석하여서는 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