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 4일 토요일

[민사재판 소멸시효] 명시적 일부청구에 따른 소멸시효 중단에 관한 법원의 석명의무가 문제되는 사안


대법원 2023. 10. 12. 선고 2020210860(본소), 2020210877(반소)   구상금(본소), 공사대금(반소)

 

1. 판결의 요지

 

피고(반소원고, 이하피고’) 2017. 1. 5. 반소를 제기하였는데, 반소장에 미지급  공사대금 일부 청구로 4 원을 청구하고 추후 감정결과에 따라 청구취지를 확장하겠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었는데, 이후 피고는 2018. 8. 24. 1심법원에 공사대금채권 청구금액을 1,189,435,536원으로 확장하는 취지의 반소 청구취지 청구원인 변경신청서를 제출하였습니다.

 

원고(반소피고, 이하원고’)들은 2019. 9. 20. 원심법원의 4 변론기일에, 피고가 사건 반소로 청구한 4 원을 초과하는 공사대금채권은 공사를 중단한 때로부터 3년이 경과한 2017. 6. 1. 소멸시효 완성으로 소멸하였다는 주장이 담긴 2019. 8. 20. 준비서면을 진술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피고는 같은 변론기일에서 피고가 2015. 7. 22. 공사대금채권에 관하여 중재를 신청함으로써 시효가 중단되었고, 원고들의 소멸시효 주장은 민사소송법 149조에서 정한 실기한 공격·방어방법에 해당한다는 주장이 담긴 2019. 9. 16. 준비서면을 진술하였습니다.

 

원심은, 원고들이 피고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는 공사대금 915,592,878 4 원을 초과하는 부분은 2017. 8.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소멸되었다고 판단하는 한편, 피고의 소멸시효 중단 주장에 관하여 중재신청은 법률상 시효중단사유에 해당하지 않아 시효중단의 효력이 없고 원고들의 소멸시효 주장이 실기한 공격·방어방법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피고가 공사대금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기 전인 2017. 1. 5. 사건 반소를 제기하면서 장차 청구금액을 확장할 뜻을 표시하였고 이후 실제로 청구금액을 확장한 사실은 소송상 명백하게 드러나 있는바, 이는 공사대금채권 전부에 관한 시효 중단사유인 재판상 청구에 해당하고, 한편 중재신청으로 소멸시효가 중단되었다는 피고의 주장은 권리 위에 잠자는 것이 아님을 표명한 것으로서 이는 소멸시효의 중단사유로서 민법 168 1호에서 정한청구 주장하는 것으로 여지가 있으므로, 원심으로서는 설령 피고가 명시적으로 재판상 청구를 소멸시효 중단사유로 주장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피고의 소멸시효 중단 주장에 그러한 주장이 포함된 것인지 여부 피고의 주장이 의미하는 바를 보다 분명히 밝히도록 촉구하는 방법으로 석명권을 행사하여 그에 따라 심리하였어야 한다고 보아,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 개의 채권 일부만을 청구하는 소를 제기한 경우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발생범위(= 장차 청구금액을 확장할 뜻을 표시하고 해당 소송이 종료될 때까지 실제로 청구금액을 확장한 경우에는 제기 당시부터 채권 전부), . 법률상 사항에 관한 법원의 석명의무

 

하나의 채권 일부에 관하여만 판결을 구한다는 취지를 명백히 하여 소송을 제기한 경우에는 제기에 의한 소멸시효중단의 효력이 일부에 관하여만 발생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발생하지 않으나(대법원 1975. 2. 25. 선고 741557 판결 참조), 소장에서 청구의 대상으로 삼은 채권 일부만을 청구하면서 소송의 진행경과에 따라 장차 청구금액을 확장할 뜻을 표시하고 해당 소송이 종료될 때까지 실제로 청구금액을 확장한 경우에는 제기 당시부터 채권 전부에 관하여 재판상 청구로 인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발생한다(대법원 2022. 5. 26. 선고 2020206625 판결 참조).

 

한편 민사소송법 136 1항은재판장은 소송관계를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당사자에게 사실상 또는 법률상 사항에 대하여 질문할 있고, 증명을 하도록 촉구할 있다.”라고 규정하고, 4항은법원은 당사자가 간과하였음이 분명하다고 인정되는 법률상 사항에 관하여 당사자에게 의견을 진술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당사자가 부주의 또는 오해로 증명하지 아니한 것이 분명하거나 쟁점으로 사항에 관하여 당사자 사이에 명시적인 다툼이 없는 경우에는 법원은 석명을 구하고 증명을 촉구하여야 하고, 만일 당사자가 전혀 의식하지 못하거나 예상하지 못하였던 법률적 관점을 이유로 법원이 청구의 당부를 판단하려는 경우에는 법률적 관점에 대하여 당사자에게 의견진술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그와 같이 하지 않고 예상외의 재판으로 당사자 일방에게 불의의 타격을 가하는 것은 석명의무를 다하지 않아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위법을 범한 것이 된다(대법원 2020. 2. 13. 선고 201547396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