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24일 금요일

[형사재판 재산관리인] 법원이 선임한 부재자 재산관리인이 법원으로부터 부재자 재산에 대한 범죄행위에 관하여 고소권 행사 허가를 받은 경우 형사소송법 제225조 제1항에서 정한 법정대리인으로서 적법한 고소권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법원 2022. 5. 26. 선고 20212488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배임)

 

1. 판결의 요지

 

피고인은 피해자(부재자) 언니로서(비동거친족) 법원에서 부재자 재산관리인으로 선임되어 피해자 앞으로 공탁된 수용보상금을 출급하였는데, 이후 법원은 피고인을 재산관리인에서 해임하고 변호사 A 재산관리인으로 개임하였고, 피고인이 변호사 A에게 수용보상금의 존재를 알리지 않았고 인계도 거부하자, 변호사 A 법원의 권한초과행위 허가를 받아 수사기관에 피고인을 배임(친고죄) 등으로 고소한 사안에서, 부재자 재산관리인이 적법한 고소권자에 해당한다고 원심판결을 수긍하고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한 판결입니다.

 

2. 적용법리

 

- 적법한 고소권자 해당 여부

 

법원이 선임한 부재자 재산관리인이 관리대상인 부재자의 재산에 대한 범죄행위에 관하여 법원으로부터 고소권 행사에 관한 허가를 얻은 경우 부재자 재산관리인은 형사소송법 225 1항에서 정한 법정대리인으로서 적법한 고소권자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형사소송법은피해자의 법정대리인은 독립하여 고소할 있다.”라고 정하고 있다(225 1 참조). 법정대리인이 갖는 대리권의 범위는 법률과 선임 심판의 내용 등을 통해 정해지므로 독립하여 고소권을 가지는 법정대리인의 의미도 법률과 선임 심판의 내용 등을 통해 정해진다.

 

법원이 선임한 부재자 재산관리인은 법률에 규정된 사람의 청구에 따라 선임된 부재자의 법정대리인에 해당한다. 부재자 재산관리인의 권한은 원칙적으로 부재자의 재산에 대한 관리행위에 한정되나, 부재자 재산관리인은 재산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법원의 허가를 받아 관리행위의 범위를 넘는 행위를 하는 것도 가능하고, 여기에는 관리대상 재산에 관한 범죄행위에 대한 형사고소도 포함된다. 따라서 부재자 재산관리인은 관리대상이 아닌 사항에 관해서는 고소권이 없겠지만, 관리대상 재산에 관한 범죄행위에 대하여 법원으로부터 고소권 행사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독립하여 고소권을 가지는 법정대리인에 해당한다.

 

. 고소권은 일신전속적인 권리로서 피해자가 이를 행사하는 것이 원칙이나, 형사소송법이 예외적으로 법정대리인으로 하여금 독립하여 고소권을 행사할 있도록 이유는 피해자가 고소권을 행사할 것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 피해자와 독립하여 고소권을 행사할 사람을 정하여 피해자를 보호하려는 있다.

 

부재자 재산관리제도의 취지는 부재자 재산관리인으로 하여금 부재자의 잔류재산을 본인의 이익과 더불어 사회경제적 이익을 기하고 나아가 잔존배우자와 상속인의 이익을 위하여 관리하게 하고 돌아올 부재자 본인 또는 상속인에게 관리해 재산 전부를 인계하도록 하는 있다(대법원 1976. 12. 21. 75551 결정 참조). 부재자는 자신의 재산을 침해하는 범죄에 대하여 처벌을 구하는 의사표시를 하기 어려운 상태에 있다. 따라서 부재자 재산관리인에게 법정대리인으로서 관리대상 재산에 관한 범죄행위에 대하여 고소권을 행사할 있도록 하는 것이 형사소송법 225 1항과 부재자 재산관리제도의 취지에 부합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