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5일 일요일

[형사재판 명예훼손] 명예훼손죄에서 사실의 적시와 의견표현의 구별이 문제된 사건 - 이혼한 피해자가 왜 마을제사에 왔는지 모르겠다는 내용 등의 이 사건 발언이 명예훼손죄에서 구체적인 사실의 적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사례


대법원 2022. 5. 13. 선고 202015642 명예훼손 판결

 

1. 판결의 요지

 

부산 00 00동장인 피고인이 00 주민자치위원인 A에게 전화를 걸어어제 열린 00 마을제사 행사에 남편과 이혼한 피해자도 참석을 하여, 이에 대해 행사에 참여한 사람들 사이에 좋게 평가하는 말이 많았다.” 말하고, 00 주민들과 함께한 저녁식사 자리에서피해자는 이혼했다는 사람이 마을제사에 왔는지 모르겠다.” 말하여 공연히 사실을 적시하여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였다고 기소된 사안입니다.

 

대법원은 피고인이 피해자의 이혼 경위나 사유, 혼인관계 파탄의 책임 유무를 언급하지 않고 이혼 사실 자체만을 언급한 것은 피해자의 사회적 가치나 평가를 떨어뜨린다고 없고, 사건 발언 배경과 내용 등에 비추어 보면, 사건 발언은 피해자에 관한 과거의 구체적인 사실을 진술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피해자의 당산제 참석에 대한 부정적인 가치판단이나 평가를 표현하고 있을 뿐이므로, 사건 발언은 피해자의 사회적 가치나 평가를 침해하는 구체적인 사실의 적시에 해당하지 않고 피해자의 마을제사 참여에 관한 의견표현에 지나지 않아 명예훼손죄의사실의 적시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 유죄를 인정한 원심을 파기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명예훼손죄가 성립하려면 사실의 적시가 있어야 하고 적시된 사실은 특정인의 사회적 가치나 평가가 침해될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구체성을 띠어야 한다(대법원 2000. 2. 25. 선고 982188 판결 참조). 사실의 적시란 가치판단이나 평가를 내용으로 하는 의견표현에 대치되는 개념으로서 시간과 공간적으로 구체적인 과거 또는 현재의 사실관계에 관한 보고나 진술을 뜻하며, 표현내용이 증거에 의한 증명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판단할 진술이 사실인지 아니면 의견인지를 구별할 때에는 언어의 통상적 의미와 용법, 증명가능성, 문제 말이 사용된 문맥, 표현이 이루어진 사회적 상황 전체적 정황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대법원 2018. 9. 28. 선고 201811491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