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 16일 월요일

[회사법무 계약] 제3자의 채권침해에 따른 불법행위 성립이 인정된 사건


대법원 2021. 6. 30. 선고 201610827 부당이득금 판결

 

1. 판결의 요지

 

시공사(피고) 동의하에 신탁계좌에서 자금을 인출하기로 약정한 시행사가, 수분양자(원고)와의 분양계약을 합의해제한 피고에게 계약금 반환을 위한 자금인출의 동의를 구하였는데, 피고가 이에 응하지 않고 자신의 공사대금만을 계속 인출하여 결국 원고가 계약금을 반환받지 못하게 사안에서, 피고의 인출행위가 원고에 대한 3자의 채권침해에 해당하여 불법행위를 구성한다고 원심을 수긍한 판결입니다.

 

2. 적용법리

 

수분양자에 대한 계약금 반환을 위해, 시행사가 시공사에게 신탁계좌에서의 자금인출 동의를 구하였는데, 시공사가 이에 응하지 않고 자신의 공사대금만을 계속 인출하여 결국 수분양자가 계약금을 반환받지 못하게 사안에서, 시공사의 행위가 불법행위로서 3자의 채권침해에 해당하는지 여부

 

일반적으로 채권에 대해서는 배타적 효력이 부인되고 채권자 상호간 채권자와 3 사이에 자유경쟁이 허용되므로 3자에 의하여 채권이 침해되었다는 사실만으로 바로 불법행위가 성립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거래에서 자유경쟁 원칙은 법질서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공정하고 건전한 경쟁을 전제로 하므로, 3자가 채권자를 해친다는 사정을 알면서도 법규를 위반하거나 선량한 풍속 밖의 사회질서를 위반하는 위법한 행위를 하여 채권의 실현을 방해하는 등으로 채권자의 이익을 침해하였다면 불법행위가 성립한다. 채권침해의 위법성은 침해되는 채권 내용, 침해행위의 양태, 침해자의 고의나 해의 주관적 사정 등을 참작하여 구체적개별적으로 판단하되, 거래자유 보장의 필요성, 경제사회정책적 요인을 포함한 공공의 이익, 당사자 사이의 이익 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대법원 2003. 3. 14. 선고 200032437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