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 26일 목요일

[형사재판 토지보상법위반] 주택재개발정비사업 구역 내 토지나 건축물을 점유하고 있는 현금청산대상자나 임차인이 사업시행자에게 수용개시일까지 토지 등을 인도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와 그 의무 위반으로 인한 형사책임


대법원 2021. 7. 29. 선고 201913010 공익사업을위한토지등의취득및보상에관한법률위반 판결

 

1. 판결의 요지

 

원심은 현금청산대상자인 피고인이 수용개시일까지 수용대상 부동산을 인도하지 않은 행위가 토지보상법 43, 95조의2 2 위반죄에 해당한다고 보아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는데, 주거이전비 등은 사전보상의 원칙이 적용되는 손실보상금에 해당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주거이전비 등이 지급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심리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법원은, 원심판결에 토지보상법 43, 95조의2 2 위반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아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파기환송).

 

2. 적용법리

 

현금청산대상자나 임차인이 주거이전비 등을 지급받지 못한 경우에도 사업시행자에게 수용개시일까지 토지 등을 인도하지 아니하였음을 이유로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보상에 관한 법률」 43, 95조의2 위반죄로 처벌할 있는지 여부(소극)

 

「도시 주거환경정비법」(2017. 2. 8. 법률 14567호로 전부개정되기 전의 , 이하 도시정비법이라 한다) 49 6 단서의 내용, 개정경위와 입법취지, 도시정비법과 토지보상법의 관련 규정의 체계와 내용을 종합하면, 토지보상법 78 등에서 정한 주거이전비, 이주정착금, 이사비(이하주거이전비 이라 한다) 등도 도시정비법 49 6 단서에서 정하는토지보상법에 따른 손실보상 해당한다. 따라서 주택재개발사업의 사업시행자가 공사에 착수하기 위하여 현금청산대상자나 임차인 등으로부터 정비구역 토지 또는 건축물을 인도받기 위해서는 협의나 재결절차 등에서 결정되는 주거이전비 등을 지급할 것이 요구된다. 사업시행자가 수용재결에서 정한 토지나 지장물 보상금을 지급하거나 공탁한 것만으로 토지보상법에 따른 손실보상이 완료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대법원 2021. 6. 30. 선고 2019207813 판결 참조).

 

사업시행자가 수용재결에 따른 보상금을 지급하거나 공탁하고 토지보상법 43조에 따라 부동산의 인도를 청구하는 경우 현금청산대상자나 임차인 등이 주거이전비 등을 보상받기 전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도시정비법 49 6 단서에 따라 주거이전비 등의 미지급을 이유로 부동산의 인도를 거절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현금청산대상자나 임차인 등이 수용개시일까지 수용대상 부동산을 인도하지 않았다고 해서 토지보상법 43, 95조의2 2 위반죄로 처벌해서는 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