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1일 화요일

[회사법무 노동법] 근로자이거나 파견법상 고용의무가 발생하였음을 전제로 임금 또는 임금 상당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사건


대법원 2025. 2. 13. 선고 2021245542   근로자지위확인

 

1. 판결의 요지

 

한국도로공사 상황실 보조 업무를 수행하는 원고들은 피고의 근로자이거나 파견법상 고용의무가 발생했음을 전제로 피고를 상대로 임금 또는 임금 상당의 손해배상을 청구하였는데, 1 변론이 종결된 사건 개정규정이 시행되었고 항소심에서 원고들이 청구취지를 양적으로 확장하였습니다.

 

원심은, 원고들에게 적용되는 근로조건과 관련하여 피고의 현장직 직원 관리 예규 조무원의 근로조건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보고, 지연손해금율과 관련해서는 원심 인용금액 전부에 대하여 원심판결 선고일 다음날부터 갚는 날까지 사건 개정규정상 법정이율인 12% 적용하여 판단하였습니다.

 

대법원은 아래와 같은 법리를 설시하면서, 원고들에게 예규 조무원의 근로조건을 적용하여야 한다고 보기 어렵고, 1심에서 심리·판단하여 인용된 청구 부분은 종전 규정에서 정한 소송촉진법상 법정이율인 15%, 항소심에서 확장됨에 따라 새롭게 심리·판단된 부분은 사건 개정규정에서 정한 소송촉진법상 법정이율인 12% 적용되어야 한다고 보아,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파견근로자와 동종·유사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사업주의 근로자가 없는 경우, 사용사업주가 파견법에 따라 파견근로자들을 직접 고용할 적용할 근로조건의 판단 방법

 

파견법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6조의2 1항에서 근로자파견사업의 허가를 받지 아니한 자로부터 근로자파견의 역무를 제공받은 경우 일정한 경우에 사용사업주는 해당 파견근로자를 직접 고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하면서, 직접 고용하는 파견근로자의 근로조건에 관하여 3항에서 사용사업주의 근로자 해당 파견근로자와 동종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이하동종유사 업무 근로자 한다) 있는 경우에는 해당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근로조건에 따르고(1), 동종유사 업무 근로자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파견근로자의 기존 근로조건의 수준보다 저하되어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2). 파견법에 따라 사용사업주에게 직접고용의무가 발생하였는데 사용사업주의 근로자 동종유사 업무 근로자가 없는 경우에는 기존 근로조건을 하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사업주와 파견근로자가 자치적으로 근로조건을 형성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사용사업주가 근로자파견관계를 부인하는 등으로 인하여 자치적으로 근로조건을 형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법원은 개별적인 사안에서 근로의 내용과 가치, 사용사업주의 근로조건 체계(고용형태나 직군에 따른 임금체계 ), 파견법의 입법 목적, 공평의 관념, 사용사업주가 직접 고용한 다른 파견근로자가 있다면 근로자에게 적용한 근로조건의 내용 등을 종합하여 사용사업주와 파견근로자가 합리적으로 정하였을 근로조건을 적용할 있다. 이와 같이 파견근로자에게 적용될 근로조건을 정하는 것은 본래 사용사업주와 파견근로자가 자치적으로 형성했어야 하는 근로조건을 법원이 정하는 것이므로 한쪽 당사자가 의도하지 아니하는 근로조건을 불합리하게 강요하는 것이 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더라도 파견근로자에게 적용할 적정한 근로조건을 찾을 없다면 파견법 6조의2 3 2호에 따라 기존 근로조건을 적용할 수밖에 없다(대법원 2024. 3. 12. 선고 2019222829, 222836 판결 참조).

 

.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3 1 본문의 법정이율에 관한 규정 부칙 2 1항에서 정하는1심의 변론이 종결된 사건에 대한 법정이율 해석

 

2019. 5. 21. 대통령령 29768호로 개정되어 2019. 6. 1.부터 시행되는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3 1 본문의 법정이율에 관한 규정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3 1 본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율이란 100분의 12 말한다.”라고 규정(이하 사건 개정규정이라 한다)함으로써 종전의 법정이율이었던 15% 12% 개정하였다. 부칙 2 1항에서는 시행 당시 법원에 계속 중인 사건으로서 1심의 변론이 종결된 사건에 대한 법정이율은 영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라고 규정하고, 2항에서는 시행 당시 법원에 계속 중인 사건으로서 1심의 변론이 종결되지 아니한 사건에 대한 법정이율은 2019 5 31일까지 발생한 분에 대해서는 종전의 규정에 따르고, 2019 6 1 이후 발생하는 분에 대해서는 영의 개정규정에 따른다.”라고 규정한다. 이러한 규정에 비추어 , 해당 사건에서 1심의 변론이 종결된 사건 개정규정이 시행되었을 경우, 항소심에서 인용되는 청구 부분 1심에서 이미 심리하여 판단된 있는 청구 부분은1심의 변론이 종결된 사건 해당하므로 소송촉진법상 법정이율에 관하여 종전의 규정을 적용해야 하지만, 항소심에서 비로소 청구취지가 확장됨에 따라 새롭게 인용된 청구 부분은1심의 변론이 종결된 사건이라고 없으므로 소송촉진법상 법정이율에 관하여 사건 개정규정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