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31일 월요일

[행정소송 조세분쟁] 가산세에 대하여 적용되어야 할 부과제척기간이 다투어진 사건


대법원 2025. 3. 13. 선고 202454935   부가가치세등부과처분취소

 

1. 판결의 요지

 

피고(과세관청)원고가 부정행위로 부가가치세 법인세를 과소신고하였다 이유로 부가가치세 법인세를 경정·고지함에 있어, 본세뿐만 아니라 가산세(부당과소신고가산세, 납부불성실가산세) 대하여도 장기부과제척기간을 적용하였습니다. 원고는 부당과소신고가산세 납부불성실가산세에 대해서는 10년의 장기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될 없고, 원칙으로 돌아가 5년의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해당 조세부과처분 등의 취소를 청구하였습니다.

 

원심은, 본세를 포탈하려는 부정행위가 인정되어 부과제척기간이 10년이 되었다면 부당과소신고가산세, 납부불성실가산세의 부과제척기간 역시 10년이 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대법원은 아래와 같은 법리를 설시하면서, 같은 취지의 원심이 정당하다고 보아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부정행위에 기한 과소신고로 인한 부당과소신고가산세 납부불성실가산세에 대하여 장기부과제척기간(10)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국세기본법(2018. 12. 31. 법률 16097호로 개정되기 전의 , 이하 같다) 26조의2 1항은 3호에서 상속세증여세 이외의 국세 부과제척기간을 원칙적으로 해당 국세를 부과할 있는 날부터 5년간으로 규정하는 한편 1호에서납세자가 부정행위로 국세를 포탈하거나 환급공제받은 경우에는 국세를 부과할 있는 날부터 10년간으로 규정하고, 47 2 본문은가산세는 해당 의무가 규정된 세법의 해당 국세의 세목으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규정들의 문언과 체계, 입법취지 본세와 가산세의 관계 등에 비추어 보면, 국세기본법 26조의2 1 1호에서 정한 10년의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되는국세에는, 본세의 세액이 유효하게 확정되어 있을 것을 전제로 납세의무자가 법정기한까지 과세표준과 세액을 제대로 신고하거나 납부하지 않은 것을 요건으로 하는 무신고과소신고납부불성실가산세 등도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