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8월 5일 금요일

[회사법무 노동법] 원고 회사가 육아휴직을 사용한 참가인을 복직시키면서 기존의 ‘발탁매니저’가 아닌 ‘영업담당’으로 인사발령한 것이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 제4항의 ‘휴직 전과 같은 업무 또는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킬 의무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1776005   부당전직 구제 재심판정 취소청구의

 

1. 판결의 요지

 

원고 회사가 육아휴직을 사용한 참가인을 복직시키면서 기존의발탁매니저 아닌냉장냉동영업담당으로 인사발령( 사건 인사발령)하였는데, 참가인은 사건 인사발령이 남녀고용평등법 19 4 위반이라고 주장하면서 부당전직 구제신청을 하였고, 경기지방노동위원회는 사건 인사발령이 부당전직에 해당한다고 보아 구제신청을 인용하였으며, 피고 중앙노동위원회 역시 같은 판단으로 원심의 재심신청을 기각하는 재심판정을 하였습니다. 이에 원고가 사건 인사발령이 부당전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재심판정 취소청구의 소를 제기하였습니다.

 

대법원은 사건의 경우발탁매니저영업담당 성격과 내용ㆍ범위 권한ㆍ 책임 등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같은 업무 해당하지 않고, 참가인에게 부여된영업담당 직무가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 해당하는 것으로 보기 위해서는 육아휴직 업무보다 불리한 직무가 아니어야 하는 앞서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업주가 필요한 조치를 다하였는지를 판단하여야 함에도, 이에 관하여 심리를 하지 않고발탁매니저영업담당 같은 업무 또는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로 보아 남녀고용평등법 19 4 위반이 아니라고 판단한 원심 판결에는 심리미진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고 보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남녀고용평등과 ·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19 4 위반여부의 판단기준, 사건 인사발령이 남녀고용평등법 19 4항에 위반되는지 여부(소극)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남녀고용평등법이라 한다) 헌법상 평등이념에 따라 성별에 관계없이 평등한 기회와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 보호와 여성 고용을 촉진하여 남녀고용평등을 실현함과 아울러 근로자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함으로써 삶의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사업주와 근로자 등에게 특별한 책무를 부과하였다(같은 4, 5).

 

이러한 남녀고용평등법의 입법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ㆍ가정의 양립 지원을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육아기 자녀 돌봄을 위한 육아휴직 제도가 도입되었다(19). 남녀고용평등법 19 1항은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가 모성을 보호하거나 근로자가 8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하여 육아휴직을 신청하는 경우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반드시 이를 허용하여야 의무를 사용자에게 부과하였고, 같은 3항은사업주는 육아휴직을 이유로 해고나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규정하는 한편, 같은 4항은사업주는 육아휴직을 마친 후에는 휴직 전과 같은 업무 또는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 규정함으로써 육아휴직 종료 후의 복직과 관련하여 3항의 취지를 보다 구체화하였다.

 

남녀고용평등법 19 3항의불리한 처우 육아휴직 또는 육아휴직을 전후하여 임금 밖의 근로조건 등에서 육아휴직으로 말미암아 육아휴직 사용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불이익 전반을 의미하므로, 사업주는 육아휴직 사용 근로자에게 육아휴직을 이유로 업무상 또는 경제상의 불이익을 주지 않아야 하고, 복귀 맡게 업무나 직무가 육아휴직 이전과 현저히 달라짐에 따른 생경함, 두려움 등으로 육아휴직의 신청이나 종료 복귀 자체를 꺼리게 만드는 근로자로 하여금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육아휴직을 신청ㆍ사용함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남녀고용평등법 관련 규정의 문언, 체계 취지 등에 비추어 보면,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19 4항에 따라 육아휴직을 마친 근로자를 복귀시키면서 부여한 업무가 휴직 전과같은 업무 해당한다고 보려면, 취업규칙이나 근로계약 등에 명시된 업무내용뿐만 아니라 실제 수행하여 업무도 아울러 고려하여, 휴직 담당 업무와 복귀 후의 담당 업무를 비교할 직책이나 직위의 성격과 내용ㆍ범위 권한ㆍ책임 등에서 사회통념상 차이가 없어야 한다. 만약 휴직기간 발생한 조직체계나 근로환경의 변화 등을 이유로 사업주가같은 업무 복귀시키는 대신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다른 직무 복귀시키는 경우에도 복귀하는 근로자에게 실질적인 불이익이 있어서는 아니 된다. 사업주가 위와 같은 책무를 다하였는지 여부는 근로환경의 변화나 조직의 재편 등으로 인하여 다른 직무를 부여해야 필요성 여부 정도, 임금을 포함한 근로조건이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인지, 업무의 성격과 내용ㆍ범위 권한ㆍ책임 등에 불이익이 있는지 여부 정도, 대체 직무를 수행하게 됨에 따라 기존에 누리던 업무상ㆍ생활상 이익이 박탈되는지 여부 정도, 동등하거나 유사한 직무를 부여하기 위하여 휴직 또는 복직 전에 사전 협의 기타 필요한 노력을 하였는지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