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3일 월요일

[회사법무 노동법] 연차휴가일수 산정방법에 대한 사건


대법원 2022. 9. 7. 선고 2022245419   연차수당지급

 

1. 판결의 요지

 

1 3개월을 근로한 근로자에 대하여는 근로기준법 60 1 2항에 따라 26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함에도, 근로기준법 60 2항에 따라 11일의 연차휴가만 발생한다고 원심의 판단에 근로기준법 60 12항에 따른 연차휴가 연차휴가수당 산정방법 등에 관한 법리오해판례위반 등의 잘못이 있으나, 판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보아 상고를 기각한 판결입니다.

 

2. 적용법리

 

근로기준법 60 1 2항의 해석과 적용범위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연차휴가를 주어야 하고(60 1),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도 1개월 개근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60 2). 연차휴가를 사용할 권리 또는 연차휴가수당 청구권은 근로자가 전년도에 출근율을 충족하면서 근로를 제공하면 당연히 발생하는 것으로서, 연차휴가를 사용할 해당 연도가 아니라 전년도 1년간의 근로에 대한 대가에 해당하므로, 다른 특별한 정함이 없는 전년도 1년간의 근로를 마친 다음 발생한다(대법원 2018. 6. 28. 선고 201648297 판결 참조). 결국 근로기준법 60 1항은 최초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가 다음 해에도 근로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2년차에 15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하는 것이어서, 1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1년의 근로계약기간이 만료됨과 동시에 근로계약관계가 이상 유지되지 아니하는 근로자에게는 근로기준법 60 2항에 따라 최대 11일의 연차휴가만 부여될 있을 근로기준법 60 1항에서 정한 15일의 연차휴가가 부여될 수는 없다(대법원 2021. 10. 14. 선고 2021227100 판결 참조). 그러나 1년을 초과하되 2 이하의 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한 근로자에 대하여는 최초 1 동안의 근로제공에 관하여 근로기준법 60 2항에 따른 11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하고, 최초 1년의 근로를 마친 다음 날에 근로기준법 60 1항에 따른 15일의 연차휴가까지 발생함으로써 최대 연차휴가일수는 26일이 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