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3일 금요일

[형사재판 압수수색] 수사기관이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한 무관정보의 증거능력이 문제된 사건


대법원 2024. 4. 16. 선고 20203050   부정청탁및금품등수수의금지에관한법률위반등

 

1. 판결의 요지

 

검찰수사서기관인 피고인이 수사를 지연시켜 달라는 내용의 부정청탁을 받고 그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고 수사기관 내부의 비밀을 누설하였다는 혐의로 수사를 받게 되었는데, 수사기관이 별건 압수·수색 과정에서 압수한 휴대전화에 저장된 전자정보를 탐색하던 우연히 사건 범죄사실 혐의와 관련된 전자정보(이하 사건 녹음파일 ’) 발견하였는데도, 이후 3개월 동안 대검찰청 통합디지털증거관리시스템(D-NET, 이하대검찰청 서버’) 그대로 저장된 채로 계속 보관하면서 영장 없이 이를 탐색·복제·출력하여 증거를 수집한 사안입니다.

 

원심은, 영장 집행의 경위와 사건의 특수성 등에 비추어 수사기관이 의도적으로 영장주의의 취지를 회피하려고 시도하였다고 보기 어려운 , 피고인의 일부 법정진술은 공개된 법정에서 진술거부권을 고지받고 변호인의 충분한 조력을 받은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이루어진 것인 , 새로운 영장의 집행 당시 참여권 관련 절차를 준수하였던 등의 사정들을 들어, 새로운 영장이 집행된 이후에 수집된 증거들은 절차에 따르지 아니한 1차적 증거수집과 인과관계가 희석 또는 단절되었다고 판단되므로 증거능력이 인정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대법원은 아래와 같은 법리를 설시하면서, 사건에서 수사기관이 무관정보를 우연히 발견하였는데도 이상의 추가 탐색을 중단하고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았다고 평가할 없으므로, 휴대전화에 저장된 사건 녹음파일 등은 적법한 압수·수색절차에 요구되는 관련 규정을 준수하지 아니함으로써 영장주의 적법절차 원칙을 위반하여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에 해당하고, 나아가 위법수집증거인 사건 녹음파일 등을 기초로 수집된 증거들 역시 위법수집증거에 잡아 획득한 2차적 증거로서 압수절차와 2차적 증거수집 사이에 인과관계가 희석 또는 단절되었다고 없으므로 증거능력을 인정할 없다고 보아, 이와 달리 새로운 영장의 집행 이후에 수집된 증거들에 대하여 증거능력을 인정한 원심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 과정에서 별도의 범죄혐의와 관련된 전자정보를 우연히 발견한 경우 수사기관이 적법하게 압수·수색하기 위한 요건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에 있어 저장매체 자체를 외부로 반출하거나 하드카피·이미징 등의 형태로 복제본(이하복제본이라 한다) 만들어 외부에서 저장매체나 복제본에 대하여 압수·수색이 허용되는 예외적인 경우에도 혐의사실과 관련된 전자정보(이하유관정보 한다) 이외에 이와 무관한 전자정보(이하무관정보 한다) 탐색·복제·출력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위법한 압수·수색에 해당하므로 허용될 없다. 그러나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이 종료되기 전에 유관정보를 적법하게 탐색하는 과정에서 무관정보를 우연히 발견한 경우라면, 수사기관으로서는 이상의 추가 탐색을 중단하고 법원으로부터 별도의 범죄혐의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은 경우에 한하여 그러한 정보에 대하여도 적법하게 압수·수색을 있다(대법원 2015. 7. 16. 20111839 전원합의체 결정 참조). 

 

수사기관이 유관정보를 선별하여 압수한 후에도 무관정보를 삭제·폐기·반환하지 아니한 그대로 보관하고 있다면 무관정보 부분에 대하여는 압수의 대상이 되는 전자정보의 범위를 넘어서는 전자정보를 영장 없이 압수·수색하여 취득한 것이어서 위법하고, 사후에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영장이 발부되었다거나 피고인이나 변호인이 이를 증거로 함에 동의하였다고 하여 위법성이 치유된다고 없다(대법원 2022. 1. 24. 20211586 결정 참조). 수사기관이 새로운 범죄혐의의 수사를 위하여 무관정보가 남아 있는 복제본을 열람하는 것은 압수·수색영장으로 압수되지 않은 전자정보를 영장 없이 수색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따라서 복제본은 이상 수사기관의 탐색, 복제 또는 출력 대상이 없으며, 수사기관은 새로운 범죄혐의의 수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도 기존 압수·수색 과정에서 출력하거나 복제한 유관정보의 결과물을 열람할 있을 뿐이다. 사후에 법원으로부터 복제본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영장이 발부받아 집행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압수·수색절차가 종료됨에 따라 당연히 삭제·폐기되었어야 전자정보를 대상으로 것으로 위법하다(대법원 2023. 6. 1. 선고 201819782 판결, 대법원 2023. 10. 18. 선고 20238752 판결 참조).

 

. 위법수집증거 배제법칙의 예외 2차적 증거의 증거능력 인정 여부

 

형사소송법 308조의2 따라 적법한 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증거로 없다. 수사기관이 헌법과 형사소송법이 정한 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물론, 이를 기초로 하여 획득한 2차적 증거 역시 유죄 인정의 증거로 삼을 없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수사기관의 절차 위반 행위가 적법절차의 실질적인 내용을 침해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증거의 증거능력을 배제하는 것이 헌법과 형사소송법이 형사소송에 관한 절차조항을 마련하여 적법절차의 원칙과 실체적 진실 규명의 조화를 도모하고, 이를 통하여 형사 사법 정의를 실현하려고 취지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예외적인 경우라면, 법원은 증거를 유죄 인정의 증거로 사용할 있다(대법원 2007. 11. 15. 선고 20073061 전원합의체 판결, 대법원 2013. 3. 14. 선고 201213611 판결 참조).

 

법원이 2차적 증거의 증거능력 인정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때에는 먼저 절차에 따르지 아니한 1차적 증거수집과 관련된 모든 사정들, 절차 조항의 취지와 위반의 내용 정도, 구체적인 위반 경위와 회피가능성, 절차 조항이 보호하고자 하는 권리 또는 법익의 성질과 침해 정도 피고인과의 관련성, 절차 위반행위와 증거수집 사이의 인과관계 관련성의 정도, 수사기관의 인식과 의도 등을 살피는 것은 물론, 나아가 1차적 증거를 기초로 하여 다시 2차적 증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발생한 모든 사정들까지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주로 인과관계 희석 또는 단절 여부를 중심으로 전체적·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대법원 2017. 9. 21. 선고 201512400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