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3월 17일 화요일

[부동산분쟁 집합건물리모델링] 1동의 건물의 리모델링 후 기존 구분건물로서의 독립성이 인정되지 않아 기존 구분건물에 대한 소유권의 효력이 리모델링 후 건물의 특정 점포부분에 미치지 않는다고 본 판결


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8232898 판결

1. 판결의 요지

1동의 건물의 리모델링 기존 구분건물의 독립성이 인정되지 않음에도 기존 구분건물의 등기부상 소유자인 원고들이 구분소유권의 효력이 리모델링 건물의 특정 점포부분에도 미친다고 주장하며 점포 점유자를 상대로 점포의 인도를 구하였으나, A 상가 건물 기존 구분소유로 등기된 구분건물이 격벽이 처음부터 없었거나 리모델링으로 제거되고, 구조, 위치와 면적이 모두 변경됨으로써 구분건물로서의 구조상 이용상의 독립성을 상실하여 일체화되었고, 리모델링 A 상가 건물의 구조상의 구분에 의해서는 기존 구분등기에 따른 구분소유권의 객체 범위를 확정할 없으며, 리모델링이 기존 구분건물로서 복원을 전제로 일시적인 것이라거나 복원이 용이해 보이지도 않으므로, 기존 구분건물로서의 구조상의 독립성이 있다고 없다고 보아, A 상가 건물에 관한 구분등기가 자체로 무효이고, 리모델링으로 생겨난 새로운 A 상가 건물 중에서 원고들 소유의 구분건물이 차지하는 비율에 상응하는 공유지분 등기로서의 효력을 인정하고, 원고들의 소유권의 효력이 리모델링 A 상가 건물의 특정 점포부분에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2. 적용 법리 - 리모델링으로 인하여 기존 구분건물이 독립성을 상실한 경우에 기존 구분건물에 대한 등기의 효력

1동의 건물 구조상 구분된 수개의 부분이 독립한 건물로서 구분소유권의 목적이 되었으나 구분건물들 사이의 격벽이 제거되는 등의 방법으로 구분건물이 건물로서의 독립성을 상실하여 일체화되고 이러한 일체화 후의 구획을 전유부분으로 하는 1개의 건물이 되었다면 기존 구분건물에 대한 등기는 합동으로 인하여 생겨난 새로운 건물 중에서 구분건물이 차지하는 비율에 상응하는 공유지분 등기로서의 효력만 인정된다.

건물의 구조상의 구분에 의하여 구분소유권의 객체 범위를 확정할 없는 경우에는 구조상의 독립성이 있다고 없고, 구분소유권의 객체로서 적합한 요건을 갖추지 못한 건물의 일부는 그에 관한 구분소유권이 성립할 없으므로, 건축물관리대장상 독립한 별개의 구분건물로 등재되고 등기부상에도 구분소유권의 목적으로 등기되어 있더라도, 등기는 자체로 무효이다.

3. 원심의 판단

원심은 서울 중구 주소 생략 15 필지 지상 ○○○시장 △△ 건물(이하 □□ 상가 건물 이라 한다) 구분건물인 1, 2 10, 1 34.58, 2 27.84 ( 이하 사건 건물이라 한다) 등기부상 소유자로서 □□ 상가 건물 2 28, 67, 68, 70 점포(이하 사건 점포 한다) 점유자인 피고들을 상대로 점포의 인도를 구하는 원고들의 사건 주위적 청구에 대하여, 사건 건물의 리모델링 표시변경등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건 건물의 공부상 표시와 실제 현황이 달라졌다고 하더라도, 사건 건물 부분으로 특정된 □□ 상가 건물 1 203, 204, 207, 276호와 2 사건 점포가 다른 부분과 구분되는 독립성을 갖추어 구분소유의 객체가 되고 사건 건물의 소유권이 미치는 실제 부분에 포함되므로, 사건 점포에 대하여 사건 건물 소유권의 효력이 미친다고 보아, 피고들은 사건 건물의 소유자인 원고들에게 사건 점포 점유 부분을 인도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4. 대법원의 판단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아래와 같은 이유에서 받아들이기 어렵다.

.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사실을 있다.
1) □□□상가 건물은 1958. 10. 30. 준공된 건물로 2002. 5. 실시된 구조안전점검 결과 위험건축물로 판정되어 서울특별시 등으로부터 보강지시명령을 받았고, 그에 따라 2005. 5. 경부터 2006. 6. 경까지 이루어진 건물 리모델링 공사(이하 사건 리모델링 이라 한다) 구조가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골콘크리트 구조로, 층수가 2층에서 4층으로, 면적이 1 873.04, 2 702.75㎡에서 1 2 925, 3 4 524.1㎡로 변경되었고, 점포의 수도 기존 170개에서 증축 250개로 증가하였다.

2) 관할관청으로부터 사건 리모델링 공사의 허가를 받지 못하여 준공 이후에도 사건 건물에 관한 사용승인이 나지 않음에 따라 사건 리모델링에 따른 공부상 표시변경등록 표시변경등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3) 결과 □□□상가 건물의 구분소유 부분으로 등기된 15개의 건물 부분에 관한 건축물대장과 등기부는 현재 상가 □□□ 건물의 현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4) 사건 건물에 관하여 개시된 서울중앙지방법원 2009타경13058 2014타경1686 임의경매사건의 감정평가서에는 사건 건물의 현황에 관하여, “□□□상가 건물은 공부상 호실로 구분되어 있지 아니하고 공부상 호칭과는 별도로 지주회에서 구획한 각층별 위치를 점유하여 사용중이고, “본건 건물은 집합건축물로 등기되어 있으나 2 증개축으로 공유자 사이에 위치가 특정되어 있지 않고 공유자 전체가 공동운영 임대 하여 지분비율대로 수익을 배분하는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므로 본건 평가는 토지 건물 소유지분만 각각 평가하되 건물은 증개축하여 공부와 현황이 상이하며, “본건의 호명칭은 ‘1, 2 10이나 이런 호수는 없고, 실제 점유하고 있는 현황은 1 203, 204, 207, 276호와 2 28, 67, 69, 70호를 점유하고 있다 기재되었다.

. 위와 같은 사실관계를 앞서 법리에 비추어 보면 □□□상가 건물 기존 구분소유 부분으로 등기된 15개의 구분건물은 격벽이 처음부터 없었거나 사건 리모델링으로 제거되고 구조, 위치와 면적이 모두 변경됨으로써 구분건물로서의 구조상 이용상의 독립성을 상실하여 일체화되었다고 보이는바, 비록 위와 같은 일체화 후에 □□□상가 건물이 250개의 점포로 나뉘어 이용되고 있더라도 □□□상가 건물의 구조상의 구분에 의해서는 기존 구분등기에 따른 구분소유권의 객체 범위를 확정할 없고, 리모델링이 기존 구분건물로서 복원을 전제로 일시적인 것이라거나 복원이 용이해 보이지도 않으므로 기존 구분건물로서의 구조상의 독립성이 있다고 없다.

따라서 사건 건물에 관한 구분등기는 자체로 무효이고, 사건 리모델링으로 생겨난 새로운 상가 건물 중에서 사건 건물이 차지하는 비율에 상응하는 공유지분 등기로서의 효력만 인정된다.

. 그런데도 판시와 같은 사정만으로 사건 점포에 대하여 사건 건물 소유권의 효력이 미친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은 구분건물의 소유권의 효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