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3월 20일 금요일

[조세분쟁 양도소득세] 기한후 신고후 받은 가산세 적법 통지에 대한 취소소송에서 이를 처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판결


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660898 판결

1. 판결의 요지

과세관청이 납세의무자의 기한후 신고에 대하여 내부적인 결정만 납세의무자에게 공식적인 방법으로 통지를 하지 않은 경우, 과세관청이 법원에 제출한 답변서 또는 준비서면에서 내부적 결정 사실을 밝혔다거나 납세의무자의 가산세감면 신청에 대하여 가산세 부과가 적법하다는 내용의 통지를 하였더라도, 기한후 신고에 대한 결정의 통지로 없어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이 존재한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2. 적용 법리 - 기한후 신고에 대한 결정의 성립 요건

행정처분은 주체·내용·절차와 형식이라는 내부적 성립요건과 외부에 대한 표시라는 외부적 성립요건을 모두 갖춘 경우에 존재한다. 행정처분의 외부적 성립은 행정의사가 외부에 표시되어 행정청이 자유롭게 취소·철회할 없는 구속을 받게 되는 시점, 그리고 상대방이 쟁송을 제기하여 다툴 있는 기간의 시점을 정하는 의미를 가지므로, 어떠한 처분의 외부적 성립 여부는 행정청에 의하여 당해 처분에 관한 행정의사가 법령 등에서 정하는 공식적인 방법으로 외부에 표시되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17. 7. 11. 선고 201635120 판결 참조).

따라서 과세관청이 납세의무자의 기한후 신고에 대하여 내부적인 결정을 하였다 하더라도 이를 납세의무자에게 공식적인 방법으로 통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한후 신고에 대한 결정이 외부적으로 성립하였다고 없으므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이 존재한다고 없다.

3. 관련 규정

. 국세기본법(2016. 12. 20. 법률 14382호로 개정되기 전의 , 이하 같다) 45조의3 1항에서법정신고기한까지 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자는 관할세무서장이 세법에 따라 해당 국세의 과세표준과 세액( 세법에 따른 가산세를 포함한다. 이하 조에서 같다) 결정하여 통지하기 전까지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할 있다라고 정하고 있고, 3항에서1항에 따라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한 경우 관할 세무서장은 세법에 따라 신고일부터 3개월 이내에 해당 국세의 과세표준과 세액을 결정하여야 한다라고 정하고 있다.

또한 같은 48조는 1항과 2항에서정부는 일정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가산세를 부과하지 않거나 감면한다 정하면서, 3항에서1항이나 2항에 따른 가산세 감면 등을 받으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감면 등을 신청할 있다라고 정하고 있다.

. 양도소득세 납세의무자가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하더라도 납세의무는 관할세무서장이 양도소득세 과세표준과 세액을 결정하는 때에 비로소 확정되고, 과세관청이 납세의무자에 대하여 양도소득세 과세표준과 세액이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할 당시 이미 자진납부한 금액과 동일하므로 별도로 고지할 세액이 없다는 신고시인결정 통지를 하였다면, 신고시인결정 통지는 국세기본법 45조의3 3항이 정한 과세관청의 결정으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청의 처분에 해당한다(대법원 2014. 10. 27. 선고 20136633 판결 참조).

이와 같이 신고시인결정의 통지를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으로 인정한 취지는 과세관청이 납세의무자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한 내용으로 과세표준과 산출세액을 결정한 것으로 봄으로써 특히 기한후 신고에 대한 경정청구가 허용되지 않는 국세기본법 체제 아래서 납세의무자에게 쟁송을 통한 권리구제의 기회를 주는 의미가 있다(다만, 2019. 12. 31. 개정된 국세기본법 45조의2에서는 기한후 신고의 경우에도 경정청구를 허용하고 있다).

4. 사실관계

. 원고는 2012. 2. 3.부터 2012. 8. 2.까지 차례에 걸쳐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주식 100,000(이하 사건 1주식이라고 한다), 500(이하 사건 2주식이라고 한다), 4,500(이하 사건 3주식이라고 한다) 양도하였다(이하 사건 1 내지 3주식을 통틀어 사건 주식이라고 한다).

. 원고는 사건 주식의 양도소득세에 관한 법정신고기한이 지난 이후인 2015. 3. 31. 피고에게 양도소득세 과세표준과 세액에 대한 신고(이하 사건 기한후 신고라고 한다) 하면서, 양도소득세(무신고가산세 납부불성실가산세 합계 915,597,091 포함) 신고납부하였다.

. 피고는 2015. 5. 18. 사건 1주식에 대하여, 2015. 6. 11. 사건 2, 3주식에 대하여 내부적으로 사건 기한후 신고 내용대로 양도소득세 과세표준 세액에 대한 결정(이하 사건 결정이라고 한다) 하였으나, 이를 원고에게 별도로 통지하지는 않았다. 다만, 피고는 사건 1심에서, 2016. 3. 9. 답변서를 통해피고가 사건 기한후 신고 내용대로 위와 같이 사건 결정을 하였다 진술하고, 2016. 3. 10. 준비서면을 통해 사건 결정에 관한 양도소득세 결정결의서를 제출하였다.

. 원고는 2015. 6. 15. 피고에게 국세기본법 48 3항에 따라 당초 신고납부한 무신고가산세 납부불성실가산세 합계 915,597,091원을 감면하여 달라는가산세감면 신청서 제출하였는데, 피고는 2015. 7. 1. 가산세 부과가 정당하다는 이유로 원고의 신청을 거부한 무렵 원고에게 이를 통지하였다

5. 대법원의 판단

원심은, 사건 결정을 사건 기한후 신고에 대한 신고시인결정 처분으로 인정한 다음, 처분이 무효인지에 관한 본안판단에 나아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다.

앞서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과세관청이 납세의무자가 제기한 항고소송에서 법원에 제출한 답변서 또는 준비서면에 기한후 신고에 대한 내부적 결정 사실을 밝혔다고 하더라도 이는 공식적인 방법으로 결정을 상대방에게 표시한 경우라고 없고, 국세기본법 48 3항에 따른 납세의무자의 가산세감면 신청에 대하여 가산세 부과가 적법하다는 내용의 통지를 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가산세 관련 거부의 통지이므로 이를 기한후 신고에 대한 결정의 통지로 수도 없다.

따라서 사건에서는 앞서 사정만으로 사건 결정을 납세의무자에게 통지한 것이라고 없으므로, 사건 결정이 외부적으로 성립하였음을 인정할 있는 다른 사정이 없는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이 존재한다고 보기 어렵다. 그렇다면 피고가 내부적으로 사건 결정을 신고시인결정으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에 해당한다고 원심의 판단에는 행정처분의 외부적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고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