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16일 월요일

[형사재판 불법정보유통금지]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문언 등을 반복적으로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하는 행위 해당 여부에 관한 사건


대법원 2023. 9. 14. 선고 20235814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등

 

1. 판결의 요지

 

대표이사인 피고인이 근무태도 등을 이유로 피해자에게 해고의 의사표시를 하자 피해자가 반발한 상황에서, 피고인의 피해자에 대한 카카오 메시지 7 발송 전화통화 2회가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문언 등을 반복적으로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하는 행위 해당함을 이유로 기소된 사안입니다.

 

대법원은, (1) 전화통화의 전체적인 내용 취지는 피고인이 피해자를 타이르면서 해고 통지의 수용 그에 따른 이행을 촉구하는 내용이 대부분인데, 피고인에게 불리하게 보이는 극히 일부의 표현만 추출하여 공소가 제기되었으며, 마저도 피해자가 해고 통지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계속 고수함에 따라 피고인이 순간적으로 격분하여 대표이사 지위에서 해고 의사를 명확히 고지하는 과정에서 일시적ㆍ충동적으로 다소 과격한 표현을 사용한 것인 , (2) 7개의 카카오 메시지는 내용 시간적 간격에 비추어 3시간 동안 3개의 메시지를 발송한 것에 불과하여 정보통신망법 44조의7 1 3호에서 정한 일련의 반복적 행위에 해당한다고 단정할 없고, 전체적인 내용은 해고의 의사표시를 명확히 고지한 것에 불과하며, 피고인과 피해자 사이에 현안이   해고 방식의 고용관계 종료를 둘러싼 법적 분쟁 혹은 이에 관한 협의 과정의 급박하고 격앙된 형태 내지 전개라고 있을 피해자의 불안감 등을 조성하기 위한 일련의 반복적인 행위라고 평가하기는 어려운 등을 이유로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원심의 판단에 정보통신망법 74 1 3 위반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는 이유로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전화통화 카카오 메시지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74 1 3, 44조의7 1 3호의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문언 등을 반복적으로 상대방에게 도달하는 행위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유의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정보통신망법이라 한다) 74 1 3, 44조의7 1 3호는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부호ㆍ문언ㆍ음향ㆍ화상 또는 영상을 반복적으로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하는 행위를 처벌한다. 여기서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문언을 반복적으로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하는 행위 해당하는지 여부는 상대방에게 보낸 문언의 내용과 표현 방법 함축된 의미, 피고인과 상대방 사이의 관계, 문언을 보낸 경위, 횟수 전후의 사정, 상대방이 처한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13. 12. 12. 선고 20137761 판결 참조).

 

나아가, 범죄는 구성요건상 조항에서 정한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불안감 등을 조성하는 일정 행위의 반복을 필수적인 요건으로 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입법 취지에 비추어 보더라도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일련의 불안감 조성행위가 이에 해당한다고 하기 위해서는 행위 상호간에 일시ㆍ장소의 근접, 방법의 유사성, 기회의 동일, 범의의 계속 밀접한 관계가 있어 전체적으로 상대방의 불안감 등을 조성하기 위한 일련의 반복적인 행위로 평가할 있는 경우여야만 하고, 그와 같이 평가될 없는 일회성 내지 비연속적인 단발성 행위가 여러 이루어진 것에 불과한 경우에는 행위의 구체적 내용 정도에 따라 협박죄나 경범죄처벌법상 불안감 조성행위 별개의 범죄로 처벌할 있음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위반죄로 처벌할 없다(대법원 2008. 8. 21. 선고 20084351 판결, 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811595 판결, 대법원 2010. 9. 9. 선고 20105914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