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8일 월요일

[조세분쟁 행정소송] 피상속인의 배우자가 배우자상속공제로 30억 원을 공제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상속세를 신고하고, 계쟁 부동산 중 일부에 대해 법정 상속분에 따른 상속등기(단순 상속등기)를 마쳤는데, 관할 세무서장인 피고가 단순 상속등기만으로 실제 상속재산이 분할되었다고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이유로, 배우자상속공제를 배제하여 상속세(가산세) 약 20억 원을 추가하는 증액 경정처분한 사건


서울고등법원 2023. 5. 18. 선고 202232308

 

1. 사안 개요

 

고인이 유언 없이 사망했는데, A(항소심 재판 사망) 고인의 아내, 원고 1, 2 고인의 자녀들인데, A 원고 1, 2(이하원고 ’) 배우자상속공제로 30 원을 공제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상속세를 신고하고, 사건 부동산 일부에 대해 법정 상속분에 따른 상속등기(단순 상속등기) 마쳤습니다. 피고는 이후 단순 상속등기만으로 실제 상속재산이 분할되었다고 확인되지 않는다는 등을 이유로, 배우자상속공제를 배제하여 상속세(가산세) 20 원을 추가하는 증액 경정처분(‘ 사건 처분’) 하였습니다.

 

2. 쟁점

 

상속세 증여세법(2016. 12. 20. 법률 14388호로 개정되기 전의 ) 19 2 배우자상속공제 요건으로분할 의미 범위(상속재산분할협의 절차 없이도, 상속세 신고와 법정 상속분에 따른 단순 상속등기로써분할이라는 공제 요건이 충족되었다고 있는지)

 

3. 판단

 

(1) 상증세법 19 2항이 말하는분할,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잠정적 공유관계를 해소하고 특정 상속재산을 피상속인의 배우자 몫으로 분배하는 내용의 절차, 민법 1013조가 정하는 상속재산의 분할을 뜻한다고 있음. 협의분할의 경우 구두에 의한 분할도 가능하고, 법정 상속분에 따라 상속재산을 분할하기로 하는 협의도 가능함

 

(2) 민법에서 협의분할 외에 재판분할의 방법을 규정하고, 이처럼 상속재산 분할의 심판이 청구되는 등의 사유가 있는 경우 배우자 상속공제를 위한 상속재산 분할의 신고 기한을 연장하는 규정이 있는 (상증세법 19 3, 상증세법 시행령 17 2) 등을 종합하면, 상증세법 19 2항이 상속인들의 자유권적 기본권(조세평등의 원칙, 배우자의 재산권, 일반적 행동의 자유 양심의 자유) 침해하는 위헌적 법률이라고 수는 없음

 

(3) 법정상속분에 따른 단순 상속등기가 되었다는 사정만으로 그에 상응하는 상속재산의 분할 협의가 있었다고 보는 것은 무리인 , 상속세과세표준신고서 등에는 법정상속분에 따른 상속재산 가액만 기재되었을 , 공동상속인들 전원의 의사 합치로 법정상속분에 따라 상속재산을 확정적으로 분할한다는 내용이 없는 , 단순 상속등기 이후 나머지 부동산에 관해서는 법적 쟁송절차를 통해 정식으로 상속재산 협의분할이 이루어진 등을 종합하면, 원고들이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단순 상속등기 당시 공동상속인들 사이에 배우자 A 몫으로 상속재산 일부를 분배하는 내용의 협의분할 약정이 성립되었다는 점이 충분히 증명되었다고 없다고 보았습니다. [항소기각(원고패)]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