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6일 토요일

[저작권분쟁 공연권] 피고가 직영하거나 피고의 가맹사업자가 운영하는 매장에서 웹캐스팅업체로부터 전송받은 음원을 재생하는 행위가 원고가 관리하는 음악저작물에 대한 공연권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부당이득반환 또는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


서울고등법원 2023. 8. 17. 선고 20222052097 판결(부당이득금반환등) / 20222034747 판결[손해배상()]

 

1. 사안 개요

 

(1) 원고는 저작권자로부터 음악저작물 관리를 신탁받아 이용자들과 음악저작물 이용계약을 체결하는 한편, 이용자들로부터 징수한 사용료를 저작권자에게 분배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비영리 사단법인임

 

 (2) 원고는 피고가 직영하거나 피고의 가맹사업자(이하피고 ’) 운영하는 매장에서 웹캐스팅업체로부터 전송받은 음원을 재생하는 행위가 원고가 관리하는 음악저작물에 대한 공연권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부당이득반환 또는 손해배상을 청구함

 

2. 쟁점

 

(1) 저작권법(2016. 3. 22. 법률 14083호로 개정되기 전의 , 이하 저작권법’) 29 2 본문의판매용 음반 범위와 판단 기준

(2) 피고 등이 웹캐스팅업체로부터 전송받은 음원이 저작권법 29 2 본문의판매용 음반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3. 판단

 

(1) 저작권법 29 2항은, 청중이나 관중으로부터 당해 공연에 대한 반대급부를 받지 않는 경우판매용 음반또는판매용 영상저작물 재생하여 공중에게 공연하는 행위는 저작권법 시행령에서 정한 예외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공연권 침해를 구성하지 않는다고 규정함. 규정에서 말하는판매용 음반 시중에 판매할 목적으로 제작된 음반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한하여 해석하여야 (대법원 201087474 판결, 대법원 2016204653 판결 참조). 그런데 음반, 특히 디지털 형태의 음반은 음반제작자에 의하여 최초로 제작되어 발행된 이후에도 여러 차례 복제 또는 전송되는 경우가 많은데, 복제 또는 전송된 음반이 판매용 음반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음반제작자에 의하여 음반이 제작된 이후 발행될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음반이나 복제물이 이용될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할 것은 아님)

 

(2) 웹캐스팅업체는 시중에 유통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제작·발행된 디지털 형태의 음원파일을 공급받아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혹은 암호화 조치를 하고 선곡·배열하여 피고 등에게 전송하는바, 음원파일이나 복제물은 시중에 판매할 목적으로 제작된 음반이고, DRM 혹은 암호화 조치는 새로이 음을 고정하는 작업이 아님 (원고패)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