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9일 월요일

[회사법무 주권인도] 상장주식에 대한 주권의 인도와 그 집행불능 시 대상적 급부의 이행을 명한 판결이 확정된 후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주식 전자등록제도가 시행된 사건


대법원 2024. 7. 25. 선고 2021201061   청구이의의

 

1. 판결의 요지

 

피고는 상장회사인 원고와 신주에 관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을 체결하고 원고를 상대로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주권의 인도를 구하는 소를 제기하여원고는 피고로부터 주식매수대금을 지급받음과 동시에 피고에게 원고 발행의 보통주를 표창하는 주권을 인도하라. 주권에 대한 강제집행이 불능일 때에는 원고는 피고에게 57 6,750 원을 지급하라 선행판결을 받았습니다. 선행판결이 확정된 다음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이하전자증권법’) 시행됨으로써 상장회사인 원고의 발행주식에 대한 전자등록주식으로 전환이 의제되어 기존에 발행한 주권은 효력을 상실하고 원고가 더는 유효한 주권 등을 발행할 수도 없게 되었습니다. 피고는 선행판결 확정 후에 선행판결 주문 주권 인도 부분에 기한 강제집행(이하 사건 주권 인도 집행’) 신청하였고, 집행관은 강제집행에 착수하였으나 원고 직원이인도할 주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 취지로 답변하여 주권을 인도받지 못하자, 그와 같은 사유를 기재하여 집행불능조서를 작성하였습니다. 이에 피고는 선행판결 주문 금전 지급 부분에 기하여 채권압류 추심명령을 신청하여 원고의 예금채권에 대한 채권압류 추심명령을 받았고, 원고는 피고 앞으로 원고 발행주식 75,000주를 표창하는 주권에 대한 전자등록증명서를 변제공탁한 선행판결에 기한 강제집행의 불허를 구하는 청구이의의 소를 제기하였습니다.

 

원심은, 선행판결에 따라 강제집행이 적법하게 개시되었고 강제집행 당시 원고가 주권을 보유하지 않아 집행관이 집행을 없는 상태를 초래한 것은 집행불능에 해당하며, 전자증권법의 시행으로 원고가 실물주권을 발행할 없게 되었더라도 이는 원고가 주권 인도의무의 이행을 지체하여 발생한 사정에 기인한 것이라는 이유로 이와 달리 없다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습니다.

 

대법원은 아래와 같은 법리를 설시하면서, 선행판결에 따른 강제집행이 적법하게 개시되어 목적이 달성되지 않은 이상 집행불능에 해당하고, 이후 전자증권법이 시행되었다는 등의 사정은 대상적 급부청구권의 성립을 방해하지 않는다고 보아, 같은 취지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원심을 수긍하여 상고를 기각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물건 인도에 관한 강제집행이 불능인지 여부의 판단 방법

 

강제집행의 적법 여부는 집행력 있는 정본의 유무와 송달 여부, 집행개시요건의 존부, 집행장애사유의 존부 등과 같이 강제집행에 착수할 당시 집행기관이 조사하여 준수할 사항에 관한 결함이 있는지 여부로 판단하여야 하고 집행채권의 소멸 등과 같은 실체상 사유는 강제집행의 적법 여부와는 무관하다.

 

한편, 채권적 청구권에 기하여 물건의 인도를 구함과 동시에 집행불능에 대비한 전보배상을 구하여 이를 인용하는 판결이 확정된 경우, 물건 인도에 관한 강제집행이 불능인지 여부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집행법상 요건에 따라 적법하게 개시된 강제집행절차에서 목적이 달성되지 못하였는지 여부로 판단하면 충분하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