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15일 일요일

[형사재판 배임죄] 저당권이 설정된 자동차를 임의처분한 경우 및 자동차 이중양도의 경우에 배임죄를 인정하지 않은 판결


대법원 2020. 10. 22. 선고 20206258 판결

 

1. 판결의 요지

 

피고인은 피해자 메리츠캐피탈 주식회사에게 저당권을 설정해 버스를 임의처분하였고, 피해자 ◯◯에게 버스를 매도하기로 하여 중도금까지 지급받았음에도 버스에 공동근저당권을 설정하였습니다. 원심은 피고인이 피해자들에 대한 타인의 사무처리자임을 전제로 배임의 점에 대하여 유죄로 판단하였으나, 대법원은 위와 같은 의무는 저당권설정계약 또는 매매계약에 따른 피고인의 사무일 타인의 사무라고 없다는 이유로 원심을 파기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 저당권이 설정된 동산을 임의처분한 경우 권리이전에 등기·등록을 요하는 동산에 대한 이중양도의 경우 배임죄 성립 여부(소극)

 

. 금전채권채무 관계에서 채권자가 채무자의 급부이행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금전을 대여하고 채무자의 성실한 급부이행에 의해 채권의 만족이라는 이익을 얻게 된다 하더라도, 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한 신임을 기초로 그의 재산을 보호 또는 관리하는 임무를 부여하였다고 없고, 금전채무의 이행은 어디까지나 채무자가 자신의 급부의무의 이행으로서 행하는 것이므로 이를 두고 채권자의 사무를 맡아 처리하는 것으로 없다. 따라서 채무자를 채권자에 대한 관계에서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해당한다고 없다.

 

채무자가 금전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자동차 특정동산 저당법」등에 따라 소유의 동산에 관하여 채권자에게 저당권을 설정해 주기로 약정하거나 저당권을 설정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채무자가 저당권설정계약에 따라 부담하는 의무, 동산을 담보로 제공할 의무, 담보물의 담보가치를 유지·보전하거나 담보물을 손상, 감소 또는 멸실시키지 않을 소극적 의무, 담보권 실행 채권자나 그가 지정하는 자에게 담보물을 현실로 인도할 의무와 같이 채권자의 담보권 실행에 협조할 의무 등은 모두 저당권설정계약에 따라 부담하게 채무자 자신의 급부의무이다. 또한 저당권설정계약은 피담보채권의 발생을 위한 계약에 종된 계약으로, 피담보채무가 소멸하면 저당권설정계약상의 권리의무도 소멸하게 된다. 저당권설정계약에 따라 채무자가 부담하는 의무는 담보목적의 달성, 채무불이행 담보권 실행을 통한 채권의 실현을 위한 것이므로 저당권설정계약의 체결이나 저당권 설정 전후를 불문하고 당사자 관계의 전형적·본질적 내용은 여전히 금전채권의 실현 내지 피담보채무의 변제에 있다(대법원 2020. 8. 27. 선고 201914770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따라서 채무자가 위와 같은 급부의무를 이행하는 것은 채무자 자신의 사무에 해당할 뿐이고, 채무자가 통상의 계약에서의 이익대립관계를 넘어서 채권자와의 신임관계에 기초하여 채권자의 사무를 맡아 처리한다고 없으므로 채무자를 채권자에 대한 관계에서 배임죄의 주체인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해당한다고 없다. 그러므로 채무자가 담보물을 3자에게 처분하는 등으로 담보가치를 감소 또는 상실시켜 채권자의 담보권 실행이나 이를 통한 채권실현에 위험을 초래하더라도 배임죄가 성립하지 아니한다.

 

위와 같은 법리는, 금전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공장 광업재단 저당법」에 따라 저당권이 설정된 동산을 채무자가 3자에게 임의로 처분한 사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 매매와 같이 당사자 일방이 재산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대금을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효력이 생기는 계약의 경우(민법 563), 쌍방이 계약의 내용에 좇은 이행을 하여야 채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자기의 사무 해당하는 것이 원칙이다. 동산 매매계약에서의 매도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그의 사무를 처리하는 지위에 있지 아니하므로, 매도인이 목적물을 타에 처분하였다 하더라도 형법상 배임죄가 성립하지 아니한다(대법원 2011. 1. 20. 선고 200810479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위와 같은 법리는 권리이전에 등기·등록을 요하는 동산에 대한 매매계약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자동차 등의 매도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그의 사무를 처리하는 지위에 있지 아니하여,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소유권이전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타에 처분하였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배임죄가 성립하지 아니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