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월 11일 목요일

[특허분쟁 특허요건] 대법원 주요 판례 – 기재불비



1. 특허법(2011. 5. 24. 법률 10716호로 개정되기 전의 ) 42 3

특허법 [시행 2018.5.29.] [법률 제15093, 2017.11.28., 일부개정]

42(특허출원) ③ 제2항에 따른 발명의 설명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1.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상세하게 적을 것

2. 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을 적을 것

 

(1) 대법원 2006. 11. 24. 선고 20032072 판결

특허법 42 3항의 규정은 특허출원된 발명의 내용을 3자가 명세서만으로 쉽게 있도록 공개하여 특허권으로 보호받고자 하는 기술적 내용과 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통상의 기술자가 당해 발명을 명세서 기재에 의하여 출원시의 기술수준으로 보아 특수한 지식을 부가하지 않고서도 정확하게 이해할 있고 동시에 재현할 있는 정도를 말하는 것이며, 박사학위 논문은 공공도서관이나 대학도서관 등에 입고된 경우 일반 공중이 기재 내용을 인식할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가 과도한 실험이나 특별한 지식을 부가하지 않고도 내용을 이해할 있는 것이다.

 

(2) 대법원 2004. 12. 23. 선고 20031550 판결

특허출원서에 첨부하는 명세서에 기재될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당해 발명을 명세서 기재에 의하여 출원시의 기술 수준으로 보아 특수한 지식을 부가하지 않고서도 정확하게 이해할 있고 동시에 재현할 있도록 목적·구성·작용 효과를 기재하여야 하고, 특히 약리효과의 기재가 요구되는 의약의 용도발명에 있어서는 출원 전에 명세서 기재의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약리기전이 명확히 밝혀진 경우와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지 않은 이상 특정 물질에 그와 같은 약리효과가 있다는 것을 약리데이터 등이 나타난 시험 예로 기재하거나 또는 이에 대신할 있을 정도로 구체적으로 기재하여야만 비로소 발명이 완성되었다고 있는 동시에 명세서의 기재요건을 충족하였다고 있다.

 

(3) 대법원 2011. 10. 13. 선고 20102582 판결 (실시예, 수치한정 발명의 경우)

특허법(2007. 1. 3. 법률 8197호로 개정되기 전의 ) 42 3항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하통상의 기술자라고 한다) 용이하게 실시할 있을 정도로 발명의 목적구성 효과를 기재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는 특허출원된 발명의 내용을 3자가 명세서만으로 쉽게 있도록 공개하여 특허권으로 보호받고자 하는 기술적 내용과 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조항에서 요구하는 명세서 기재의 정도는 통상의 기술자가 출원시의 기술수준으로 보아 과도한 실험이나 특수한 지식을 부가하지 않고서도 명세서의 기재에 의하여 당해 발명을 정확하게 이해할 있고 동시에 재현할 있는 정도를 말한다. 그리고 당해 발명의 성격이나 기술내용 등에 따라서는 명세서에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재현하는 것이 용이한 경우도 있으므로 특허법 42 3항이 정한 명세서 기재요건을 충족하기 위해서 항상 실시예가 기재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성요소의 범위를 수치로써 한정하여 표현한 발명에 있어서, 그러한 수치한정이 단순히 발명의 적당한 실시 범위나 형태 등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체에 별다른 기술적 특징이 없어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실시할 있는 정도의 단순한 수치한정에 불과하다면, 그러한 수치한정에 대한 이유나 효과의 기재가 없어도 통상의 기술자로서는 과도한 실험이나 특수한 지식의 부가 없이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재현할 있을 것이므로, 이런 경우에는 명세서에 수치한정의 이유나 효과가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특허법 42 3항에 위배된다고 없다.

 

(4) 대법원 2012. 11. 29. 선고 20122586 판결

특허법(2007. 1. 3. 법률 8197호로 개정되기 전의 ) 42 3항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하통상의 기술자라고 한다) 용이하게 실시할 있을 정도로 발명의 목적구성 효과를 기재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 여기에서 실시의 대상이 되는 발명은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것이므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에 오류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오류가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아니한 발명에 관한 것이거나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이외의 부분에 관한 것이어서 오류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기술자가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재현하는 것이 용이한 경우라면 이를 들어 특허법 42 3항에 위배된다고 없다.

 

2. 특허법 42 4

특허법 [시행 2018.5.29.] [법률 제15093, 2017.11.28., 일부개정]

42(특허출원) ④ 제2항에 따른 청구범위에는 보호받으려는 사항을 적은 항(이하 "청구항"이라 한다)이 하나 이상 있어야 하며, 그 청구항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1. 발명의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될 것

2. 발명이 명확하고 간결하게 적혀 있을 것

 

. 1

(1) 대법원 2006. 5. 11. 선고 20041120 판결

특허출원서에 첨부된 명세서에 기재된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재하지 아니한 사항을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하여 특허를 받게 되면 공개하지 아니한 발명에 대하여 특허권이 부여되는 부당한 결과가 되므로, 특허법(2001. 2. 3. 법률 6411호로 개정되기 전의 , 이하 같다) 42 4 1호는 이와 같은 부당한 결과를 방지하기 위한 규정이라 것이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되고 있는지 여부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입장에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대응되는 사항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하는바, 출원시의 기술상식에 비추어 보더라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내용을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까지 확장 내지 일반화할 없는 경우에는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된다고 없다.

 

(2) 대법원 2014. 9. 4. 선고 2012832 판결

특허법 42 4 1호는 특허청구범위에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을 기재한 청구항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될 것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특허출원서에 첨부된 명세서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지 아니한 사항이 청구항에 기재됨으로써 출원자가 공개하지 아니한 발명에 대하여 특허권이 부여되는 부당한 결과를 막으려는 데에 취지가 있다. 따라서 특허법 42 4 1호가 정한 위와 같은 명세서 기재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규정취지에 맞게 특허출원 당시의 기술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하통상의 기술자라고 한다) 입장에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대응되는 사항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하고(대법원 2011. 10. 13. 선고 20102582 판결 참조), 규정취지를 달리하는 특허법 42 3 1호가 정한 것처럼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있도록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하여 판단하여서는 아니 된다.

(사실관계) 출원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전송된 펄스의 위상이 결정되도록 하는 코드라는 구성에 대응되는 사항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동일하게 기재되어 있어서 구성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되므로 특허법 42 4 1호에 반하는 기재불비가 있다고 없다는 원심판단이 정당하다고 사례

 

. 2

(1) 대법원 2006. 11. 24. 선고 20032072 판결

특허발명의 청구항에발명이 명확하고 간결하게 기재될 요구하는 특허법 42 4 2호의 취지는 같은 976) 규정에 비추어 청구항에는 명확한 기재만이 허용되는 것으로서 발명의 구성을 불명료하게 표현하는 용어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으며, 나아가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은 명세서를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비추어 특허청구범위에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의 정의와 다른 의미로 용어를 사용하는 결과적으로 청구범위를 불명료하게 만드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2) 대법원 2004. 12. 23. 선고 20031550 판결(의약 용도발명)

의약의 용도발명에 있어서는 특정 물질이 가지고 있는 의약의 용도가 발명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므로,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는 특정 물질의 의약용도를 대상 질병 또는 약효로 명확히 기재하여야 한다.

 

(3) 대법원 2009. 1. 30. 선고 20063564 판결(의약 용도발명)

의약의 용도발명에서는 특정 물질이 가지고 있는 의약의 용도가 발명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므로,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는 특정 물질의 의약용도를 대상 질병 또는 약효로 명확히 기재하는 것이 원칙이나, 특정 물질의 의약용도가 약리기전만으로 기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명세서의 다른 기재나 기술상식에 의하여 의약으로서의 구체적인 용도를 명확하게 파악할 있는 경우에는 특허법 42 4 2호에 정해진 청구항의 명확성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있다.

(사실관계) 의약의 용도발명에 관한 특허청구범위 2항은, 유효성분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함유 질소산화물 스캐빈저의 용도를 구체적인 질병 또는 약효로 기재하지 않고 질소산화물 과생성을 치료한다고 하는 약리기전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작하여 질소산화물의 과생성으로 인해 유도되는 저혈압증, 다중기관부전증을 치료·예방한다고 하는 구체적인 의약용도를 명확하게 파악할 있으므로, 청구항의 명확성 요건을 충족한다고 사례.

 

. 3 ( 특허법에서는 삭제)

 

(1) 대법원 2006. 11. 24. 선고 20032072 판결

특허발명의 청구항에발명의 구성에 없어서는 아니 되는 사항만으로 기재될 요구하는 특허법 42 4 3호는 출원발명에 대한 특허 후에 특허청구범위에 발명의 구성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모두 기재하지 아니하였음을 들어 특허 당시 기재되어 있지 아니하였던 구성요소를 가지고 원래 기재되어 있던 듯이 포함하여 해석하여야 한다고 주장할 없음은 물론,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요소는 모두 필수구성요소로 파악되어야 하며 일부 구성요소를 중요성이 떨어진다는 등의 이유로 필수구성요소가 아니라고 주장할 없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3. 기능식 청구항의 기재불비 여부

(1) 2007. 9. 6. 선고 20051486 판결

특허청구범위가 기능, 효과, 성질 등에 의한 물건의 특정을 포함하는 경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도면 등의 기재와 출원 당시의 기술상식을 고려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특허를 받고자 하는 발명을 명확하게 파악할 있다면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는 적법하다.

(사실관계) 기능식 청구항의 기재불비 여부(허용 여부) 문제로 되는데, 일정한 요건 아래 기능식 청구항이 허용됨을 명확히 판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