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22일 수요일

[형사재판 배임죄] 업무상배임죄에서 재산상 이익과 손해의 관계가 문제된 사안


대법원 2021. 11. 25. 선고 20163452 새마을금고법위반등 판결

 

1. 판결의 요지

 

새마을금고 임직원인 피고인이 새마을금고의 여유자금 운영에 관한 규정을 위반하여 금융기관으로부터 금융상품을 매입함으로써 새마을금고에 액수 불상의 손해를 가하고, 금융기관에 수수료 상당의 이익을 취득하게 하였다고 하여 업무상배임 등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1심과 원심은 금융상품 매입에 대한 대가로 금융기관에 지급된 수수료는 피고인의 임무위배행위로 인하여 3자가 취득한 재산상 이익에 해당한다고 보아 업무상배임을 유죄로 인정하였으나, 대법원은 피고인의 임무위배행위로 새마을금고에 액수 불상의 재산상 손해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금융기관이 취득한 수수료 상당의 이익을 그와 관련성 있는 재산상 이익이라고 인정할 없고, 공소사실에 재산상 이익으로 기재된 수수료 상당의 이익은 배임죄에서의 재산상 이익에 해당한다고 없다고 보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 업무상배임죄에서 재산상 이익과 손해의 관계

 

업무상배임죄는 업무상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를 하고 그러한 임무위배행위로 인하여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하여 본인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가한 성립한다. 여기서재산상 이익 취득재산상 손해 발생 대등한 범죄성립요건이고, 이는 서로 대응하여 병렬적으로 규정되어 있다(형법 356, 355 2). 따라서 임무위배행위로 인하여 여러 재산상 이익과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재산상 이익과 손해 사이에 서로 대응하는 관계에 있는 일정한 관련성이 인정되어야 업무상배임죄가 성립한다.

 

. 업무상배임죄에서 행위자나 3자가 취득한 재산상 이익의 의미 배임행위로 인하여 행위자나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지 않은 경우 업무상배임죄 성립 여부(소극)

 

업무상배임죄에서 본인에게 재산상 손해를 가한다 함은 총체적으로 보아 본인의 재산상태에 손해를 가하는 경우, 본인의 전체적 재산가치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말하고, 이와 같은 법리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내지 3자가 취득하는 재산상 이익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대법원 2007. 7. 26. 선고 20056439 판결, 대법원 2009. 6. 25. 선고 20083792 판결 참조).

 

또한 업무상배임죄는 본인에게 재산상 손해를 가하는 외에 임무위배행위로 인하여 행위자 스스로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거나 3자로 하여금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게 것을 요건으로 하므로, 본인에게 손해를 가하였다고 할지라도 행위자 또는 3자가 재산상 이익을 취득한 사실이 없다면 배임죄가 성립할 없다( 대법원 20056439 판결, 대법원 20083792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