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27일 월요일

[민사재판 이행인수] 소멸시효 기산점


대법원 2021. 11. 25. 선고 2020294516 손해배상() 판결

 

1. 판결의 요지

 

피고가 갑으로부터 사건 부동산을 매수하면서 부동산에 설정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승계하고 중도금 전부나 일부를 대체하기로 하였으나 이를 이행하지 않았고, 근저당권의 채무자인 원고가 이자 등을 대신 지급하고 갑을 대위하여 피고를 상대로 이자 등에 해당하는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안인데, 대법원은, 원고가 이자 등을 지급한 갑의 피고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이 발생하고 소멸시효가 진행된다고 보아야 하는데도, 피고와 사이의 중도금 지급기일부터 소멸시효가 진행한다고 보아 소멸시효 항변을 받아들인 원심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이행인수채무 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

 

부동산의 매수인이 매매목적물에 관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인수하고 채무액을 매매대금에서 공제하기로 약정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매도인을 면책시키는 채무인수가 아니라 이행인수로 보아야 한다. 이행인수계약의 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채무자가 채무의 내용에 따른 이행을 하지 않음으로써 생긴 통상의 손해를 한도로 한다. 매수인이 인수하기로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변제하지 않아 원리금이 늘어났다면 원리금이 매수인의 이행인수계약 불이행으로 인한 통상의 손해액이 된다(대법원 1976. 10. 29. 선고 761002 판결, 대법원 1997. 6. 24. 선고 971273 판결, 대법원 2004. 4. 9. 선고 200369270 판결 참조).

 

소멸시효는 권리를 행사할 있는 때부터 진행한다(민법 166 1).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현실적으로 손해가 발생한 때에 성립한다. 채무불이행으로 채권자가 3자에 대해 채무를 부담하게 경우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3자에 대한 채무액과 같은 금액을 손해배상금으로 청구하기 위해서는 채무의 부담이 현실적확정적이어서 실제로 변제해야 성질의 것이어야 한다. 그와 같은 채무의 부담이 현실적확정적이어서 손해가 현실적으로 발생하였다고 것인지는 사회통념에 비추어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대법원 2001. 7. 13. 선고 200122833 판결, 대법원 2020. 6. 11. 선고 2020201156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