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23일 금요일

[부동산분쟁 부담계약] 지역주택조합이 조합원총회 결의 없이 체결한 계약의 효력의 유·무효가 문제된 사건


대법원 2022. 8. 25. 선고 2021231734   대여금

 

1. 판결의 요지

 

설립된 불과 1 남짓 경과된 지역주택조합인 피고가 조합원총회 결의 없이 원고에게 A회사가 원고로부터 차용한 돈에 대하여 보증(이하 사건 보증’) 하였고,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보증채무의 이행을 구한 사안입니다.

 

대법원은, 피고 조합이 체결한 사건 보증약정은예산으로 정한 사항 외에 조합원에게 부담이 계약의 체결 해당하므로, 원고는 사건 보증약정을 체결하기 전에 관련 법령 이에 근거한 조합규약에 따라 당연히 피고의 총회의결이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의무가 있었고 이를 해태하였으므로, 사건 보증약정은 주택법 시행령 20 3 주택법 시행규칙 7 5 3호에 따라 원칙적으로 무효라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원심으로서는 사건 보증약정 체결 당시 피고가 총회의결을 거쳤는지, 원고가 피고의 총회의결 존부를 확인하였는지 혹은 그러한 절차적 흠결에도 불구하고 원고에게 과실 책임을 지울 없는 특별한 사정이 존재하는지 여부 등을 면밀히 심리한 사건 보증약정의 효력을 판단하였어야 함에도 단순히 사건 보증약정을 유효로 보았는바,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사건 보증약정의 효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음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고 보아 파기환송한 판결입니다.

 

2. 적용법리

 

주택법 시행령 20 3 주택법 시행규칙 7 5 3호에 위반된 계약의 효력(원칙적 무효)

 

관련 법령에 따르면, 지역주택조합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조합규약에 필수적인 총회의결사항으로예산으로 정한 사항 외에 조합원에게 부담이 계약의 체결 명시하도록 하여 이를 지역주택조합 설립인가의 조건이자 필수적인 요건으로 강제하고 있다. 이는 조합규약에 규정할 필수적인 총회의결사항을 사전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입법적인 조치로서, 이에 따르면, ‘지역주택조합 총회의결을 거치지 않는 예산으로 정한 사항 외에 조합원에게 부담이 계약의 체결 등의 법률행위를 없는 법령상 제한 하에서만 설립인가 운영이 가능하다.

 

지역주택조합의 필수적 총회의결사항에 대한 이러한 법령상 제한은 조문의 위치만 달리 주택건설촉진법이 2003. 5. 29. 법률 6916호로 전부 개정되어주택법으로 명칭이 변경된 때부터 규정되어 있었다. , ‘주택법 제정될 당시부터 지역주택조합의 법률행위에 대한 법령상 제한은 이미 일반에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러한 법령상 제한이 없는 통상의 민법상 법인 아닌 사단의 경우와 다르고, 한편 지역주택조합 대표자의 대표권 범위는 법률상 정해진 바가 없다는 점에서, 권리능력 범위 내에서 대표이사의 포괄적 대표권이 법률로 명시된 주식회사와도 다르다. 이에 더하여 관련 법령과 지역주택조합의 조합규약에 따라 적법하게 총회 소집의결을 거치기 위해서는 총회 목적·안건 등에 관한 이사회 의결공고기간조합원 전원에 대한 통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사정까지 고려하면, 지역주택조합과 사이에 조합원에게 상당한 부담이 있는 계약을 체결하려는 3자는 사전에 총회의결의 존부를 확인하는 조치를 취하는 것이 관련 법령의 해석상 예정된 것이자 당연히 기대된다고 봄이 상당하다. 지역주택조합의 조합원 자격은 원칙적으로 일정한 지역에 거주하는무주택 세대주만으로 엄격히 제한되는(주택법 시행령 21 1) 조합원 자격 제한을 통하여 무주택 세대주와 세대원들의 주거 안정을 보호할 필요성을 비롯한 지역주택조합의 특성·목적·역할·기능에 내재된 공공성에 비추어도 그러하다. 무주택 세대주들이 주택 마련을 위해 지역주택조합을 설립하여 주택건설사업을 장기간 동안 시행하는 과정에서 조합원들의 권리·의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조합원들의 의사가 직접 반영될 있는 실질적인 절차를 마련함으로써 소수 임원의 전횡을 사전에 방지하고 이를 통해 지역주택조합과 조합원들을 보호하기 위한 관련 법령의 입법취지와 목적 역시 이를 뒷받침한다.

 

관련 법령 전체의 내용취지 형식에 비추어 보면, 주택법 시행령 20 3 주택법 시행규칙 7 5 3호는 단순히 비법인사단의 자율적·내부적인 대표권 제한의 문제가 아니라 법률행위의 상대방인 3자와의 계약 해석에 있어서도 3자의 귀책을 물을 없는 예외적인 경우가 아닌 원칙적으로 조항의 효력이 미치도록 하려는 것으로 있다. 따라서예산으로 정한 사항 외에 조합원에게 부담이 계약의 체결 해당함에도 관련 법령과 이에 근거한 조합규약에 정한 총회의결 없이 이루어진 법률행위의 상대방으로서는 절차적 요건의 흠결을 과실 없이 알지 못하였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을 밝히지 못하는 절차적 요건의 충족을 전제로 하는 계약의 효력을 주장할 없다고 봄이 상당하다. 앞서 관련 법령의 취지와 내용·연혁에 비추어 보더라도, 이러한 해석이 지역주택조합과의 계약 상대방의 예측가능성 또는 거래의 안전을 현저히 저해한다고 없고, 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거래 상대방이 입게 되는 손해는 거래의 구체적인 경위와 경과 등에 기한 지역주택조합의 책임 여하 정도에 따라 일정 부분 배상을 받는 근거가 있을 뿐이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