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 14일 목요일

[민사재판 손해배상] 노동능력상실률 산정을 위한 장애평가기준의 적용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


대법원 2023. 11. 16. 선고 2020292671   손해배상()

 

1. 판결의 요지

 

원고가 성형외과 의사인 피고로부터 코를 높여주는 수술 등을 받은 무후각증이 발생했다고 주장하면서 피고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구하는 사안입니다.

 

원심은, 맥브라이드 평가표와 미국의학협회기준(AMA 기준), 국가배상법 시행령 별표 등을 모두 검토한 사건의 경우에는 맥브라이드 평가표의 장애율 산정에 관한 불균형과 누락을 시정하고 현실적인 우리나라 직업분포에 맞는 노동능력상실지수를 설정한 대한의학회 장애평가기준(KAMS 기준) 다른 평가기준보다 합리적인 기준이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대법원은, 원심이 원고의 노동능력상실률을 산정할 채택한 평가기준 산정 결과를 수긍할 있다고 보아, 원심판결을 수긍하여 상고를 기각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대한의학회 장애평가기준(KAMS 기준) 적용하여 노동능력상실률을 산정할 있는지 여부(적극)

 

노동능력상실률을 적용하는 방법에 따라 일실이익을 산정할 경우, 노동능력상실률은 단순한 의학적 신체기능장애율이 아니라 피해자의 연령, 교육 정도, 종전 직업의 성질과 직업경력, 기능 숙련 정도, 신체기능장애 정도 유사직종이나 직종의 전업가능성과 확률 기타 사회적·경제적 조건을 모두 참작하여 경험칙에 따라 정한 수익상실률로서 합리적이고 객관성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노동능력상실률을 정하기 위한 보조자료의 하나인 의학적 신체기능장애율 그에 대한 감정인의 감정결과 등은 사실인정에 관하여 특별한 지식과 경험, 통계치 등을 요하는 경우에 법관이 이용하는 참고자료에 불과한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피해자의 모든 조건과 경험칙에 비추어 규범적으로 결정할 수밖에 없으므로 동일한 사실에 관하여 일치하지 않는 개의 자료가 있을 법관이 하나에 의거하여 사실을 인정하거나 이를 종합하여 사실을 인정하는 것은 경험칙 또는 논리법칙에 위배되지 않는 적법하다(대법원 1989. 3. 14. 선고 86다카2731 판결, 대법원 1992. 5. 22. 선고 9139320 판결, 대법원 2002. 9. 4. 선고 200180778 판결 참조).

 

이와 같이 노동능력상실률을 정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사실심 법원의 전권에 속하는 것이지만 법관에게 이에 관한 자유재량을 부여한 것은 아니므로, 법원은 형평의 원칙에 반하거나 현저히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앞서 열거한 모든 구체적 사정을 충실하고 신중하게 심리하여 평가가 객관성을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대법원 2020. 4. 9. 선고 2019293654 판결, 대법원 2020. 6. 25. 선고 2020219850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