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3월 20일 토요일

[회사법무 노동법] 근로자에 대한 계약종료통지서에 해고사유가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위법한 해고통지라 본 판결


대법원 20201. 2. 25. 선고 2017226605 판결

 

1. 판결의 요지

 

원고는 피고 회사와 1년의 기간을 정한 고용계약을 체결하고 근무하다가 고용계약을 새로이 체결하면서 근로계약기간의 종기를 따로 정하지 않았는데, 피고 회사는 원고에게 계약종료통지서를 교부하면서 계약종료의 사유나 별도의 근거규정을 기재하지 않은 “2011. 3. 8. 상호 체결한 고용계약 2항의 규정에 의거 당사는 귀하와의 고용계약을 2015. 1. 23.부로 종료함을 통지합니다.”라는 내용만 기재하였고, 고용계약 2항의 내용은원고의 근로계약은 기간의 정함이 없고, 피고 회사가 원고를 해고하려면 2개월 전에 통보하거나 2개월분의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라는 취지일 뿐이었던 사안에서, 원고에 대한 해고통지서에 해당하는 사건 계약종료통지서에는 해고사유가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근로기준법 27조를 위반한 통지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이와 달리 원고가 해고사유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고 있고 그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할 있는 상황이었다는 등의 이유만으로 해고 통지가 적법하다고 원심을 파기환송한 판결입니다.

 

2. 적용법리

 

근로기준법 27조를 위반한 해고통지에 해당하는지 여부

 

근로기준법 27조는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해고사유와 해고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효력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규정은 해고사유 등의 서면통지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근로자를 해고하는 신중을 기하게 함과 아울러, 해고의 존부 시기와 사유를 명확하게 하여 사후에 이를 둘러싼 분쟁이 적정하고 용이하게 해결될 있도록 하고, 근로자에게도 해고에 적절히 대응할 있게 하기 위한 취지이므로, 사용자가 해고사유 등을 서면으로 통지할 때는 근로자의 처지에서 해고사유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있도록 해야 한다(대법원 2011. 10. 27. 선고 201142324 판결 참조). 다만 해고 대상자가 이미 해고사유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고 있고 그에 대해 충분히 대응할 있는 상황이었다면 해고통지서에 해고사유를 상세하게 기재하지 않았더라도 조항을 위반한 것이라고 없다(대법원 2014. 12. 24. 선고 201281609 판결 참조).

 

그러나 근로기준법 27조의 규정 내용과 취지를 고려할 , 해고 대상자가 해고사유가 무엇인지 알고 있고 그에 대해 대응할 있는 상황이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해고를 서면으로 통지하면서 해고사유를 전혀 기재하지 않았다면 이는 근로기준법 27조에 위반한 해고통지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