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 31일 수요일

[형사재판 음주운전] 음주운전이 의심되는 운전자가 혈중알코올농도 측정 직전에 추가로 음주를 한 사건


대법원 2023. 12. 28. 선고 20206417   도로교통법위반(음주운전)

 

1. 판결의 요지

 

피고인이 화물차를 운전하다가 사고를 현장을 이탈하여 소주 1병을 마셨고, 이후 이루어진 음주측정에서 혈중알코올농도가 0.169% 측정되었는데, 경찰이 피고인에게 정상적인 상태에서 소주 1병을 마시도록 음주측정을 실시하여 혈중알코올농도가 0.115% 측정되자, 피고인이 0.054% 술에 취한 상태로 화물차를 운전하였다는 공소사실로 기소된 사안입니다.

 

원심은, 피고인이 소주 1병을 마셨을 경우 위드마크 공식에 따라 피고인에게 가장 유리한 수치를 적용하여 계산된 결과는 0.141%이고, 이를 사고 이후 음주측정치인 0.169%에서 공제하면 사고 당시 피고인의 혈중알코올농도 추정치는 0.028% 된다고 보아, 사건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습니다.

 

대법원은, 아래와 같이 판시하면서 죄증을 인멸하기 위해 추가음주가 이루어지는 경우 정당한 형사처벌의 필요성이 인정되지만, 별도의 입법적 조치가 없는 현상황에서는 위드마크 공식을 통해 혈중알코올농도를 추정할 밖에 없다고 보아,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원심판결을 수긍하여 상고를 기각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음주운전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혈중알코올농도 측정 직전에 추가로 음주를 경우 위드마크 공식을 통한 혈중알코올농도 추정 방법

 

음주하고 운전한 직후에 운전자의 혈액이나 호흡 표본을 검사하여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할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른바 위드마크(Widmark) 공식을 사용하여 수학적 방법에 따른 계산결과로 운전 당시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추정할 있다. 운전시부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음주측정기 또는 혈액채취 등에 의하여 측정한 혈중알코올농도는 운전시가 아닌 측정시의 수치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운전시의 혈중알코올농도를 구하기 위하여는 여기에 운전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알코올분해량을 더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범죄구성요건 사실의 존부를 알아내기 위하여 위와 같은 과학공식 등의 경험칙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법칙 적용의 전제가 되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사실에 관하여 엄격한 증명을 요한다고 것이다. 시간의 경과에 의한 알코올의 분해소멸에 관해서는 평소의 음주정도, 체질, 음주속도, 음주 신체활동의 정도 등이 시간당 알코올분해량에 영향을 미칠 있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해당 운전자의 시간당 알코올분해량이 평균인과 같다고 쉽게 단정할 것이 아니라 증거에 의하여 명확히 밝혀야 하고, 증명을 위하여 필요하다면 전문적인 학식이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도움 등을 받아야 하며, 만일 공식을 적용할 불확실한 점이 남아 있고 그것이 피고인에게 불이익하게 작용한다면 계산결과는 합리적인 의심을 품게 하지 않을 정도의 증명력이 있다고 없다(대법원 2000. 10. 24. 선고 20003307 판결, 대법원 2000. 10. 24. 선고 20003145 판결, 대법원 2000. 12. 26. 선고 20002185 판결 참조).

 

그러나 시간당 알코올분해량에 관하여 알려져 있는 신빙성 있는 통계자료 피고인에게 가장 유리한 것을 대입하여 위드마크 공식을 적용하여 운전시의 혈중알코올농도를 계산하는 것은 피고인에게 실질적인 불이익을 우려가 없으므로 계산결과는 유죄의 인정자료로 사용할 있다고 하여야 한다(대법원 2001. 6. 26. 선고 995393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2024년 1월 30일 화요일

[형사재판 산업재해] 근로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하여 사업주가 중대재해처벌법위반(산업재해치사) 등으로 기소된 사건


대법원 2023. 12. 28. 선고 202312316   산업안전보건법위반등

 

1. 판결의 요지

 

피고인 1 피고인 회사의 대표이사이고, 피고인 회사는 ○○산업(개인사업체) 제강 압연 일용보수작업 업무에 관한 도급계약을 체결하였는데, ○○산업 소속 근로자인 피해자가 무게 1,220kg 상당의 방열판 보수 작업을 하는 도중 섬유벨트가 끊어지고 방열판이 낙하하면서 피해자를 덮쳐 사망한 사안입니다.

 

대법원은,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 보호법익, 행위태양 등에 비추어 보면, 사건에서 중대재해처벌법위반(산업재해치사)죄와 근로자 사망으로 인한 산업안전보건법위반죄 업무상과실치사죄는 상호간 사회관념상 1개의 행위가 수개의 죄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형법 40조의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다고 보아, 원심판결을 수긍하여 상고를 기각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근로자가 산업재해로 사망 중대재해처벌법위반(산업재해치사)죄와 산업안전보건법위반죄 업무상과실치사죄의 죄수 관계(= 상상적 경합)

 

상상적 경합은 1개의 행위가 수개의 죄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형법 40). 여기에서 1개의 행위라 함은 법적 평가를 떠나 사회관념상 행위가 사물자연의 상태로서 1개로 평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대법원 1987. 2. 24. 선고 862731 판결, 대법원 2017. 9. 21. 선고 201711687 판결 참조).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 보호법익, 행위태양 등에 비추어 보면, 사건에서 중대재해처벌법위반(산업재해치사)죄와 근로자 사망으로 인한 산업안전보건법위반죄 업무상과실치사죄는 상호간 사회관념상 1개의 행위가 수개의 죄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형법 40조의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다.

 

정회목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