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 25일 목요일

[회사법무 노동법] 근무성적 및 근무태도의 불량을 이유로 한 해고의 정당성이 문제된 사건


대법원 2023. 12. 28. 선고 202133470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1. 판결의 요지

 

원고 회사는 과장급 간부사원인 피고보조참가인(‘참가인’) 대하여 징계위원회 시행 세칙을 준용한 해고절차를 진행하여, 근무성적 근무태도가 불량하다는 이유로 간부사원 취업규칙 32 5(사회통념상 근로를 계속할 없다고 판단되는 ) 따라 참가인을 통상해고 하였는데(‘ 사건 해고’), 중앙노동위원회가 사건 해고가 부당하다고 보아 참가인의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인용하는 재심판정을 하자(‘ 사건 재심판정’), 원고가 사건 재심판정의 취소를 구하는 사안입니다.

 

원심은, 참가인은 간부사원 취업규칙 32 5호의사회통념상 근로를 계속할 없다고 판단되는 해당한다고 없고, ‘ 사건 해고의 사유는 간부사원 취업규칙 42 14호에서 정한 징계해고 사유(근무태도나 근무성적이 불량하고 개선의 여지가 없다고 판단되는 )에도 해당하므로 원고가 징계해고 사유의 증명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통상해고를 이라는 사건 재심판정의 판단이 잘못이라고 단정하기 어려우며, 설령 간부사원 취업규칙 32 5호가 업무 저성과자에 대한 해고의 근거규정이 있다고 보더라도 참가인에게 배치전환 등을 통한 적합한 업무로의 재배치 등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는 고용 유지 내지 해고 회피를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야 해고의 정당성이 인정될 있는데 원고가 그러한 노력을 다하였다고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사건 해고가 위법하다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습니다.

 

대법원은, (1) 간부사원 취업규칙이 근무태도나 근무성적 불량을 별도의 징계해고 사유로 명시하고 있지만 원고가 취업규칙 32 5호에 따라 참가인을 통상해고하면서 징계해고에 준하는 절차를 거친 것이 징계해고 사유의 증명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상해고를 것이라고 보기 어렵고, (2) 참가인은 사건 해고 당시 입사 25년차이자원가절감 업무 담당하는 과장급 간부사원으로서 직책과 경력에 따른 성과와 전문성이 요구되는 , 참가인의 근무성적이나 근무능력이 부진한 기간이 11년으로 상당히 장기간이고 사건 해고 3년간의 인사평가결과는 11,229 11,222위로 최하위 그룹에 속하며 원가절감실적도 현저히 낮은 편이었던 , 원고는 참가인에게 근무태도 향상과 성과 개선을 위한 교육을 7회나 실시하는 등으로 개선의 기회를 충분히 부여하였고 배치전환에 관한 면담에서 참가인이 기존 부서에서 계속 근무하겠다는 의사를 밝히자 의사를 존중하였음에도 업무능력이나 업무성과가 개선되지 않은 등을 종합하면 참가인은 사회통념상 고용관계를 계속할 없을 정도인 경우에 해당할 여지가 있다고 보아,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 징계해고사유가 통상해고사유에도 해당하여 통상해고의 방법을 취할 경우 징계해고에 따른 소정의 절차가 부가적으로 요구되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특정사유가 취업규칙 등에서 징계해고사유와 통상해고사유의 양쪽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뿐 아니라 징계해고사유에는 해당하나 통상해고사유에는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유를 이유로 징계해고처분의 규정상 근거나 형식을 취하지 아니하고 근로자에게 보다 유리한 통상해고처분을 택하는 것은, 근로기준법 23 1항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재량에 속하는 적법한 것이다. 다만, 근로자에게 변명의 기회가 부여되지 않더라도 해고가 당연시될 정도라는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 징계해고사유가 통상해고사유에도 해당하여 통상해고의 방법을 취하더라도 징계해고에 따른 소정의 절차는 부가적으로 요구된다(대법원 1994. 10. 25. 선고 9425889 판결 참조).

 

. 사용자가 근무성적이나 근무능력이 불량하여 직무를 수행할 없는 경우에 해고할 있다고 정한 취업규칙 등에 따라 근로자를 해고한 경우, 해고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기준

 

근로기준법 23 1항은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를 하지 못한다고 규정하여 해고를 제한하고 있다. 사용자가 취업규칙에서 정한 해고사유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할 때에도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근무성적이나 근무능력이 불량하여 직무를 수행할 없는 경우에 해고할 있다고 정한 취업규칙 등에 따라 근로자를 해고한 경우, 사용자가 근로자의 근무성적이나 근무능력이 불량하다고 판단한 근거가 되는 평가가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어야 아니라, 근로자의 근무성적이나 근무능력이 다른 근로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정도를 넘어 상당한 기간 동안 일반적으로 기대되는 최소한에도 미치지 못하고 향후에도 개선될 가능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사회통념상 고용관계를 계속할 없을 정도인 경우에 한하여 해고의 정당성이 인정된다. 이때 사회통념상 고용관계를 계속할 없을 정도인지는 근로자의 지위와 담당 업무의 내용, 그에 따라 요구되는 성과나 전문성의 정도, 근로자의 근무성적이나 근무능력이 부진한 정도와 기간, 사용자가 교육과 전환배치 근무성적이나 근무능력 개선을 위한 기회를 부여하였는지 여부, 개선의 기회가 부여된 이후 근로자의 근무성적이나 근무능력의 개선 여부, 근로자의 태도, 사업장의 여건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21. 2. 25. 선고 2018253680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