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6월 29일 월요일

[형사재판 증거능력] 양벌규정의 종업원과 사업주는 형사증거법상 공범 내지 이에 준하는 관계에 있다고 보아, 종업원에 대한 경찰 피의자신문조서는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3항 소정의 ‘검사 이외의 수사기관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에 해당하므로, 같은 법 제314조에 기초하여 위 경찰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본 판결


대법원 2020. 6. 11. 선고 20169367 판결

1. 판결의 요지

대법원은 피고인이 운영하는 병원의 사무국장으로 근무하던 공소외인이 저지른 행위에 대하여 피고인이 양벌규정인 의료법 91조를 적용법조로 기소된 사안에서, 검사가 증거로 제출한 사법경찰관 작성의 공소외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에 관해서는 피고인이 증거동의를 바가 없고 오히려 내용을 부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하여는 형사소송법 312 3항이 아니라 형사소송법 312 4 314조가 적용된다고 보아 증거능력을 인정하여 피고인에게 유죄를 인정한 것을 파기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 양벌규정상 행위자인 다른 피의자에 대한 사법경찰관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가 사업주인 당해 피고인에 대하여 증거능력을 가지기 위한 요건

형사소송법 312 3항은 검사 이외의 수사기관이 작성한 해당 피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를 유죄의 증거로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검사 이외의 수사기관이 작성한 해당 피고인과 공범관계에 있는 다른 피고인이나 피의자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를 해당 피고인에 대한 유죄의 증거로 채택할 경우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해당 피고인과 공범관계가 있는 다른 피의자에 대하여 검사 이외의 수사기관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는 피의자의 법정진술에 의하여 성립의 진정이 인정되는 형사소송법 312 4항의 요건을 갖춘 경우라고 하더라도 해당 피고인이 공판기일에서 조서의 내용을 부인한 이상 이를 유죄 인정의 증거로 사용할 없고, 당연한 결과로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하여는 사망 사유로 인하여 법정에서 진술할 없는 때에 예외적으로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규정인 형사소송법 314조가 적용되지 아니한다(대법원 2004. 7. 15. 선고 20037185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그리고 이러한 법리는 공동정범이나 교사범, 방조범 공범관계에 있는 자들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법인의 대표자나 법인 또는 개인의 대리인, 사용인, 밖의 종업원 행위자의 위반행위에 대하여 행위자가 아닌 법인 또는 개인이 양벌규정에 따라 기소된 경우, 이러한 법인 또는 개인과 행위자 사이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구체적 이유는 다음과 같다.

대법원은 앞서 바와 같이 형사소송법 312 3항의 규정이 검사 이외의 수사기관이 작성한 해당 피고인과 공범관계에 있는 다른 피고인이나 피의자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해서까지 적용된다는 입장을 확고하게 취하고 있다. 이는 하나의 범죄사실에 대하여 여러 명이 관여한 경우 서로 자신의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미루려는 것이 일반적인 인간심리이므로, 만일 위와 같은 경우에 형사소송법 312 3항을 해당 피고인 외의 자들에 대해서까지 적용하지 않는다면 인권보장을 위해 마련된 규정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여 부당하고 불합리한 결과에 이를 있기 때문이다(대법원 1986. 11. 1. 선고 861783 판결 참조).

나아가 대법원은 형사소송법 312 3항이 형법총칙의 공범 이외에도, 서로 대향된 행위의 존재를 필요로 각자의 구성요건을 실현하고 별도의 형벌규정에 따라 처벌되는 강학상 필요적 공범 내지 대향범 관계에 있는 자들 사이에서도 적용된다는 판시를 하기도 하였다(대법원 1996. 7. 12. 선고 96667 판결, 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76129 판결 참조). 이는 필요적 공범 내지 대향범의 경우 형법총칙의 공범관계와 마찬가지로 어느 피고인이 자기의 범죄에 대하여 진술이 나머지 대향적 관계에 있는 자가 저지른 범죄에도 내용상 불가분적으로 관련되어 있어 목격자, 피해자 3자의 진술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속성을 지니고 있음을 중시한 것으로 있다.

무릇 양벌규정은 법인의 대표자나 법인 또는 개인의 대리인, 사용인, 밖의 종업원 행위자가 법규위반행위를 저지른 경우, 일정 요건 하에 이를 행위자가 아닌 법인 또는 개인이 직접 법규위반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평가하여 행위자와 같이 처벌하도록 규정한 것으로서, 이때의 법인 또는 개인의 처벌은 행위자의 처벌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법인 또는 개인의 직접책임 내지 자기책임에 기초하는 것이기는 하다(대법원 2006. 2. 24. 선고 20057673 판결, 대법원 2010. 9. 9. 선고 20087834 판결, 대법원 2010. 9. 30. 선고 20093876 판결 참조). 그러나 양벌규정에 따라 처벌되는 행위자와 행위자가 아닌 법인 또는 개인 간의 관계는, 행위자가 저지른 법규위반행위가 사업주의 법규위반행위와 사실관계가 동일하거나 적어도 중요부분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내용상 불가분적 관련성을 지닌다고 보아야 하고, 따라서 앞서 형법총칙의 공범관계 등과 마찬가지로 인권보장적인 요청에 따라 형사소송법 312 3항이 이들 사이에서도 적용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