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6월 24일 수요일

[행정소송 요양급여징수] 생활협동조합의 명의를 빌려 의료기관을 개설한 자에 대하여 국민건강보험법 제57조 제2항 제1호에 의하여 요양급여비용 징수 처분에 대하여 재량의 일탈남용이 없다고 본 판결


대법원 2020. 6. 11. 선고 201837250 판결

1. 판결의 요지

생활협동조합의 명의를 빌려 의료기관을 개설한 실질적 개설자인 원고에 대하여 국민건강보험법 57 2항에 의거하여 의료기관에 지급된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징수한 사건입니다. 의료기관의 실질적 개설자에 대한 부당이득징수처분은 재량행위에 해당하고, 실질적 개설자인 비의료인에 대하여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징수하는 것이 재량권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특히 이와 같이 의료기관 개설·운영 과정에서 비의료인 개설자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불법성의 정도, 의료기관의 운영에 따른 이익과 손실이 비의료인 개설자에게 귀속된다는 등의 사정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기록과 원심판결에 나타난 제반 사정을 살펴볼 위와 같은 처분이 재량권 일탈·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판결입니다.

2. 적용법리

. 국민건강보험법 57 2항에 정한 부당이득징수가 재량행위에 해당하는지(적극)

국민건강보험법 57 1항이 정한 부당이득징수는 재량행위라고 보는 것이 옳다(대법원 2020. 6. 4. 선고 201539996 판결 참조). 한편, 종전 국민건강보험법은 보험급여 비용을 받은 요양기관에 대하여만 부당이득을 징수할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었으나, 2013. 5. 22. 신설된 국민건강보험법 57 2항은공단은 1항에 따라 속임수나 밖의 부당한 방법으로 보험급여 비용을 받은 요양기관이 다음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요양기관을 개설한 자에게 요양기관과 연대하여 같은 항에 따른 징수금을 납부하게 있다.’ 규정하면서 1호에서「의료법」 33 2항을 위반하여 의료기관을 개설할 없는 자가 의료인의 면허나 의료법인 등의 명의를 대여받아 개설·운영하는 의료기관 규정하여 비의료인 개설자에 대한 부당이득징수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국민건강보험법 57 2항이 정한 부당이득징수 역시 재량행위라 것이다.

. 실질적 개설자인 비의료인에 대하여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징수하는 것이 재량권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고려하여야 요소

의료법 33 2항이 금지하는비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행위 비의료인이 의료기관의 시설 인력의 충원·관리, 개설신고, 의료업의 시행, 필요한 자금의 조달, 운영성과의 귀속 등을 주도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대법원 2018. 11. 29. 선고 201810779 판결 참조). 따라서 실질적 개설자인 비의료인에 대하여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징수하는 것이 재량권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특히 이와 같이 의료기관 개설·운영 과정에서 비의료인 개설자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불법성의 정도, 의료기관의 운영에 따른 이익과 손실이 비의료인 개설자에게 귀속된다는 등의 사정을 고려하여야 것이다.

3. 법원의 판단

. 국민건강보험법 57 1항은공단은 속임수나 밖의 부당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를 받은 사람이나 보험급여 비용을 받은 요양기관에 대하여 보험급여나 보험급여 비용에 상당하는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징수한다.’ 규정하여 문언상 일부 징수가 가능함을 명시하고 있다. 조항은 요양기관이 부당한 방법으로 급여비용을 지급청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바람직한 급여체계의 유지를 통한 건강보험 의료급여 재정의 건전성을 확보하려는 입법취지가 있다(헌법재판소 2011. 6. 30. 선고 2010헌바375 결정 참조). 그러나 요양기관으로서는 부당이득징수로 인하여 이미 실시한 요양급여에 대하여 비용을 상환 받지 못하는 결과가 되므로 침익적 성격이 크다. 이와 같은 규정의 내용, 체재와 입법취지, 부당이득징수의 법적 성질 등을 고려할 국민건강보험법 57 1항이 정한 부당이득징수는 재량행위라고 보는 것이 옳다(대법원 2020. 6. 4. 선고 201539996 판결 참조).

. 한편, 종전 국민건강보험법은 보험급여 비용을 받은 요양기관에 대하여만 부당이득을 징수할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었으나, 2013. 5. 22. 신설된 국민건강보험법 57 2항은공단은 1항에 따라 속임수나 밖의 부당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비용을 받은 요양기관이 다음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요양기관을 개설한 자에게 요양기관과 연대하여 같은 항에 따른 징수금을 납부하게 있다.’ 규정하면서 1호에서의료법 33 2항을 위반하여 의료기관을 개설할 없는 자가 의료인의 면허나 의료법인 등의 명의를 대여받아 개설운영하는 의료기관’을 규정하여 비의료인 개설자에 대한 부당이득징수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사건에서 피고는 신설된 국민건강보험법 57 2항에 의거하여 비의료인 개설자인 원고에게 소외 생협에 지급된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징수하는 처분을 하였다.

. 기록과 원심판결에 나타난 제반 사정을 살펴보면, “실질적 개설자인 원고는 의료기관을 개설할 자격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소외 생협 명의로 사건 병원을 개설하였고(의료법 위반), 소외 생협의 실질이 결여된 의료기관 개설자격이 없는 원고의 계산으로 사건 병원을 개설운영하는 사실을 숨기고 피고로부터 요양급여비용을 지급받았다(사기)” 범죄사실로 징역 1 6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아 형이 확정되는 불법성이 , 원고가 의료인 자격이 있는 사람만이 요양기관을 개설할 있음을 알고 있었을 것으로 보임에도 사건 병원을 개설한 , 원고가 얻은 이익이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사건 처분이 재량권 일탈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원심 판단을 수긍할 있다. 이러한 원심의 조치에 비례의 원칙, 재량권 일탈남용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