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21일 수요일

[민사재판 계약법무] 처분문서에 기재된 공제 및 상계 약정의 해석이 문제된 사건


대법원 2024. 8. 1. 선고 2024227699   원상회복금

 

1. 판결의 요지

 

아파트 수분양자인 원고들은 아파트 건설 공급사업의 시행자인 피고와 분양계약을 체결하였고, 중도금 전액을 대출금으로 납입하면서 대출금채무를 연대보증한 피고 등과중도금대출신청에 따른 확인서’(이하 사건 확인서’) 작성하였습니다. 원고들의 중도금 대출금 미상환 등을 원인으로 분양계약이 해제되자, 원고들은 피고를 상대로 원상회복으로 계약금 등의 반환을 청구하고, 이에 대하여 피고는 사건 확인서에 따라 공제 또는 상계를 주장하였습니다.

 

원심은, 원고들의 수동채권과 피고의 자동채권 위약금 채권 대출원리금 관련 사전구상권은 분양계약이 해제된 2018. 2. 20., 원고들의 나머지 수동채권과 피고의 소송비용액 상당 채권은 소송비용액 대위변제일인 2022. 10. 21. 상계적상에 있었고, 사건 확인서 관련 조항은 피고의 사전구상권 행사 사유를 확장하고 행사의 절차적 요건을 완화한 내용일 뿐이므로 피고가 사전구상권을 행사할 있는 중도금 대출 만기일을 상계적상일로 하여 상계하기로 하는 약정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원고들의 청구를 일부 인용하였습니다.

 

대법원은 아래와 같은 법리를 설시하면서, 원심이 피고의 주장을 상계 주장으로 보고 판단한 이상 당부를 떠나 판결에 영향을 미친 판단누락이나 심리미진의 잘못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원고들의 분양대금 반환채권과 피고의 구상권에 관하여 사건 확인서에 따른 공제나 상계를 경우 공제 기준시점이나 상계적상 시점은 사건 확인서 문언의 해석에 따라기한의 이익 상실 중도금 대출 만기일로 보아야 하므로, 중도금 대출 만기일을 기준으로 채권을 정산한 피고가 원고들에게 지급할 액수가 얼마인지를 산정하여야 한다고 보아,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 공제와 상계의 법리 구별 기준

 

처분문서는 진정성립이 인정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처분문서에 기재되어 있는 문언의 내용에 따라 당사자의 의사표시가 있었던 것으로 객관적으로 해석하여야 하고, 당사자 사이에 계약의 해석을 둘러싸고 이견이 있어 처분문서에 나타난 당사자의 의사해석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문언의 내용, 그와 같은 약정이 이루어진 동기와 경위, 약정에 의하여 달성하려는 목적,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논리와 경험칙에 따라 합리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대법원 2001. 2. 27. 선고 9923574 판결, 대법원 2020. 2. 13. 선고 201612595 판결 참조).

 

공제는 복수 채권·채무의 상호 정산을 내용으로 하는 채권소멸 원인이라는 점에서 상계와 유사하다. 그러나 공제에는 원칙적으로 상계적상, 상계 금지나 제한, 상계의 기판력 상계에 관한 법률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 부동산임대차관계 특정 법률관계에서는 일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원칙적으로 공제의 의사표시 없이도 당연히 공제가 이루어진다고 보는 등에서 공제는 상계와 구별된다. 또한 공제는 상계 금지나 제한과 무관하게 3자에 우선하여 채권의 실질적 만족을 얻게 한다는 점에서 상계보다 강한 담보적 효력을 가진다. 한편 계약자유의 원칙에 따라 당사자는 강행규정에 반하지 않는 공제나 상계에 관한 약정을 있으므로, 공제나 상계적상 요건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공제 기준시점이나 상계적상 시점을 언제로 것인지, 공제나 상계의 의사표시가 별도로 필요한지 등을 자유롭게 정하여 당사자 사이에 효력을 발생시킬 있다. 또한 공제와 상계 무엇에 관한 약정인지는 약정의 문언과 체계, 약정의 경위와 목적, 채권들의 상호관계, 3자의 이해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 법원의 판결에 당사자가 주장한 사항에 대한 구체적직접적인 판단이 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판결 이유의 전반적인 취지에 비추어 주장을 인용하거나 배척하였음을 있는 정도에 해당하는 경우 판단누락이라고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서의 이유에는 주문이 정당하다는 것을 인정할 있을 정도로 당사자의 주장, 밖의 공격·방어방법에 관한 판단을 표시하면 되고 당사자의 모든 주장이나 공격·방어방법에 관하여 판단할 필요가 없다(민사소송법 208). 따라서 법원의 판결에 당사자가 주장한 사항에 대한 구체적·직접적인 판단이 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판결 이유의 전반적인 취지에 비추어 주장을 인용하거나 배척하였음을 있는 정도라면 판단누락이라고 없다(대법원 2019. 1. 31. 선고 2016215127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