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3일 수요일

[회사법무 노동법] 근로자파견관계의 성립 여부가 문제된 사건


대법원 2024. 6. 17. 선고 2019279344   근로자지위확인

 

1. 판결의 요지

 

피고의 자동차 연구·개발시설에서 피고와 도급 형식의 계약을 체결한 사내협력업체 소속으로 보전 업무를 수행한 원고들이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근로자지위확인 등을 청구한 사안입니다.

 

원심은, 피고와 원고들이 소속된 협력업체 간의 사건 계약에서 협력업체가 담당하는 업무의 구체적인 내용을 한정하고 있고, 사건 계약에서협력업체와 피고가 협의한 작업 도급 작업의 범위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피고 소속 근로자들의 요청으로 원고들이 담당한 업무를 계약 외의 업무로 보기도 어려운 , 해당 시설에서 근무하는 피고 소속 근로자들은 대부분 연구원이거나 기계설비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기술직 근로자들로, 그들이 담당한 업무는 원고들의 업무인 예방점검 업무와 구별되는 , 원고들이 작업을 피고 직원의 확인을 받은 것은 피고로부터 구속력 있는 지시를 받았다기보다는 예정대로 업무가 수행되었음을 확인한 정도에 불과한 등을 이유로 원고들과 피고 사이에 근로자파견관계가 성립되었다고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대법원은 위와 같은 법리를 설시하면서, 피고가 피고의 정규직 근로자들과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들이 담당해야 업무내용을 구분해 두기는 하였으나 실제로는 업무 범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아 공동 작업을 수행하기도 , 협력업체는 피고가 정한 표준정원에 해당하는 인원만을 채용하고 근로자 배치 권한을 독자적으로 행사할 없었던 , 피고가 새로 채용된 협력업체 근로자들에게 직무교육을 수개월간 직접 실시하였던 , 원고들의 업무는 피고가 정해 단순한 작업을 반복하는 것으로 전문적 기술이 요구되지 않았고, 협력업체가 업무 수행에 필요한 물적 설비도 보유하고 있지 않았던 여러 사정들을 종합하여 원고들과 피고가 근로자파견관계에 있었다고 여지가 크다고 보아, 이와 달리 근로자파견관계를 부정한 원심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2. 적용법리

 

근로자파견관계 성립 여부의 판단기준

 

 

 

  원고용주가 어느 근로자로 하여금 3자를 위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 법률관계가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파견에 해당하는지는 당사자가 붙인 계약의 명칭이나 형식에 구애될 것이 아니라, 3자가 근로자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업무수행 자체에 관한 구속력 있는 지시를 하는 상당한 지휘·명령을 하는지, 근로자가 3 소속 근로자와 하나의 작업집단으로 구성되어 직접 공동 작업을 하는 3자의 사업에 실질적으로 편입되었다고 있는지, 원고용주가 작업에 투입될 근로자의 선발이나 근로자의 , 교육 훈련, 작업휴게시간, 휴가, 근무태도 점검 등에 관한 결정 권한을 독자적으로 행사하는지, 계약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범위가 한정된 업무의 이행으로 확정되고 근로자가 맡은 업무가 3 소속 근로자의 업무와 구별되며 그러한 업무에 전문성기술성이 있는지, 원고용주가 계약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독립적 기업조직이나 설비를 갖추고 있는지 등의 요소를 바탕으로 근로관계의 실질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15. 2. 26. 선고 2010106436 판결 참조).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