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4월 30일 화요일

[소송절차 전속관할] 특허법원의 전속관할에 해당된다고 본 이송결정이 적법하다는 대법원 판결


대법원 2019. 4. 10. 선고 20176337 판결

원고(재항고인, 이하원고’) 피고(상대방, 이하피고’) 군겸용기술사업촉진법(2004. 9. 23. 법률 7217호로 개정되기 전의 ) 정한 군겸용기술개발사업의 하나로 2003. 10. 24. 피고와 박막공정을 이용한 자가방전 초소형 전지 개발을 위한 군겸용기술개발과제 협약(응용연구단계) 체결하였고(이하 사건 협약’), 피고를 상대로 사건 협약에 기한 특허권 지분의 귀속의무 불이행을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를 제기한 사안입니다. 이에 대하여 대법원이, 사건 협약 중에는 공법적 법률관계에 관한 규정들이 일부 포함되어 있으나, 사건 협약에 따른 특허권 지분의 귀속의무 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의 존부 범위는 민사법률관계에 해당하므로 이를 소송물로 다투는 소송은 민사소송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 사건 소송은 심리판단에 특허권 등의 지식재산권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소송으로 민사소송법 24 2항이 규정하는 특허권 등의 지식재산권에 관한 소로 보아야 한다는 전제에서 특허법원으로 이송결정한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판결입니다.

1. 사실관계

원고는 군겸용기술사업촉진법(2004. 9. 23. 법률 7217호로 개정되기 전의 ) 정한 군겸용기술개발사업의 하나로 2003. 10. 24. 피고와 박막공정을 이용한 자가방전 초소형 전지 개발을 위한 군겸용기술개발과제 협약(응용연구단계) 체결하였다(이하 ‘이 사건 협약이라고 한다). 사건 협약에 따르면, 피고가 민간연구기관이므로 응용연구기술에 관한 특허권 정부출연금 지분은 원고의 소유로 귀속되고(9 2), 특허권은 원고와 피고가 공동으로 출원등록하되 필요한 비용은 피고가 부담해야 하며(9 3), 피고는 정부출연금 지분에 해당하는 기술료를 납부하고 원고에게 지분의 양도를 요청할 있고, 원고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무상으로 지분을 양도해야 한다(9 4).

사건 협약에 기한 응용연구는 2016. 11. 30. 완료되었고, 피고는 사건 협약의 응용연구 과정에서 개발된 기술에 관하여 1 판시 1 내지 4 특허권(이하 사건 특허권이라 한다) 출원하여 등록받았다.

2. 민사소송 해당 여부

사건 협약을 통해 개발하는 자가방전 초소형 전지 관한 기술은 공공분야뿐만 아니라 민간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될 있는 성질의 것이다. 그리고 사건 협약 중에는 공법적 법률관계에 관한 규정들이 일부 포함되어 있으나, 그러한 규정들이 사건 협약에 따른 응용연구성과로서의 특허권 지분의 귀속과 가액을 심리판단하는 직접 관련된 것은 아니다. 또한 사건 소는 사건 협약의 이행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권 지분의 귀속의무 불이행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이어서 사건 협약에 포함된 공법적 법률관계에 영향을 받는다고 없고, 공권력 행사 등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찾아보기도 어렵다.

따라서 사건 협약에 따른 특허권 지분의 귀속의무 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의 존부 범위는 민사법률관계에 해당하므로 이를 소송물로 다투는 소송은 민사소송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3. 특허법원 전속관할 여부

. 2015. 12. 1. 법률 13521호로 개정된 민사소송법 24 2, 3항은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품종보호권 등의 지식재산권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2조부터 23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관할법원 소재지를 관할하는 고등법원이 있는 곳의 지방법원(서울고등법원이 있는 곳의 경우 서울중앙지방법원) 전속관할로 하되, 지방법원이 서울중앙지방법원이 아닌 경우 서울중앙지방법원에도 소를 제기할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개정 규정은 부칙(2015. 12. 1.) 1, 2조에 의하여 시행일인 2016. 1. 1. 이후 최초로 소장이 접수된 사건부터 적용된다.

한편 2015. 12. 1. 법률 13522호로 개정된 법원조직법 28조의4 2호는 특허법원이 특허권 등의 지식재산권에 관한 민사사건의 항소사건을 심판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28 32 2항은 이러한 특허법원의 권한에 속하는 사건을 고등법원 지방법원 합의부의 심판대상에서 제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개정 규정은 부칙(2015. 12. 1.) 1, 2조에 의하여 시행일인 2016. 1. 1. 전에 소송계속 중인 특허권 등의 지식재산권에 관한 민사사건에 대하여 시행일 이후에 1 판결이 선고된 경우에도 적용된다(대법원 2017. 12. 22. 선고 2017259988 판결 참조).

이와 같이 특허권 등에 관한 지식재산권에 관한 소의 관할에 대하여 별도의 규정을 이유는 통상적으로 심리판단에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심리에 적합한 체계와 숙련된 경험을 갖춘 전문 재판부에 사건을 집중시킴으로써 충실한 심리와 신속한 재판뿐만 아니라 지식재산권의 적정한 보호에 이바지 할수 있기 때문이다.

.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사건 협약에 기한 특허권 지분의 귀속의무 불이행을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있으므로, 청구원인의 당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건 특허권에 대한 원고의 지분 유무와 함께 사건 특허권에 대한 원고의 지분비율을 정할 필요가 있다. 원고의 지분비율을 정하기 위해서는 원고의 출연금의 비율뿐만 아니라 피고가 자신의 명의로 등록받은 사건 특허권의 가치, 사건 협약 체결 전부터 피고의 박막공정을 이용한 자가방전 초소형 전지 대한 기술개발 정도와 그러한 기술이 피고가 등록한 특허권들에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 여부 존속기간이 설정된 특허권의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사건 소송은 심리판단에 특허권 등의 지식재산권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소송으로 민사소송법 24 2항이 규정하는 특허권 등의 지식재산권에 관한 소로 보아야 하고, 2014. 6. 16. 1 법원에 소가 제기되어 개정 법원조직법 시행일 이후인 2017. 7. 12. 1 판결이 선고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항소사건은 특허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한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