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법원 2018. 8.
24. 선고 2018허3123 판결
등록상표 중 상단의 ‘
’ 부분은 영문자 a로 보이는 ‘
’ 부분, ‘
’ 부분 및 ‘
’ 부분이 결합한 표장인데, 그중 ‘
’ 부분은 수요자나 거래자에게 ‘
’의 ‘a’가 좌우로 대칭하는 것(이하 ‘a의 거울상’이라 한다)으로 인식될 수도 있지만,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의 ‘
’ 부분과 관련지어 영문자 ‘b’를 도안화한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등록상표 중 하단의 ‘
’ 부분은 그 자체로는 사전에 등재되지 아니한 조어(造語)이지만, ‘a+b’로 인식될 수 있는 상단 ‘
’ 부분에 의하여 수요자나 거래자에게 ‘a+b’의 호칭인 ‘에이 플(쁠)러스 비’에서 각각 앞글자(에, 쁠, 비)를 딴 약칭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또한, 증거에 의하면, 인터넷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검색창에 등록상표의 하단 부분인 ‘에쁠비’를 검색어로 입력하여 검색하면 수요자나 거래자가 등록상표 중 상단 부분을 ‘a+b’로 인식한 사례도 있음이 인정된다. 결국, 수요자나 거래자는 상단 ‘
’ 부분과 하단 ‘
’ 부분을 관련지어 등록상표는 ‘a+b’를 도안화한 상단의 ‘
’ 부분과 ‘a+b’를 약칭한 하단의 ‘
’ 부분이 세로로 병기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등록상표는 수요자나 거래자에게 ‘a+b’를 도안화한 ‘
’ 부분과 그 호칭의 약칭인 ‘
’ 부분이 세로로 단순 병기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점, 등록상표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이 분리 관찰하면 거래상 자연스럽지 못하다고 여길 정도로 불가분하게 결합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 ‘
’ 부분도 도안화로 인하여 식별력이 있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수요자나 거래자는 ‘
’ 부분을 등록상표의 요부로 인식할 것으로 보인다.




등록상표의 요부인 ‘
’ 부분은, ‘
’ 부분이 영문자 ‘b’를 도안화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인식되는 경우에 ‘
’ 부분은 영문자 ‘a’, 연산기호 ‘+’, 영문자 ‘b’로 구성된 표장이라는 점에서 선등록상표 ‘
’와 외관이 유사하다. 또한, ‘
’ 부분이 영문자 ‘
’의 거울상으로 인식된다고 보더라도 이는 선등록상표의 ‘
’ 부분과 외관상 유사하므로, ‘
’ 부분은 선등록상표 ‘
’와 외관이 유사하다. 결국, 어느 모로 보더라도 등록상표의 요부인 ‘
’ 부분이 선등록상표 ‘
’와 외관이 유사하므로, 전체적으로 보아 등록상표는 선등록상표와 외관이 유사하다. 이와 다른 전제에서 등록상표와 선등록상표는 외관이 유사하지 아니하다는 취지의 원고 주장은 이유 없다.











수요자나 거래자는 등록상표 중 상단의 ‘
’ 부분과 하단의 ‘
’ 부분을 관련지어 인식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경우 수요자나 거래자는 등록상표를 ‘a+b’로 관념하고, 하단의 ‘
’ 부분에 의하여 ‘에쁠비’로 호칭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선등록상표 ‘
’ 역시 수요자나 거래자는 ‘a+b’로 관념하고, ‘에이 플러스 비’ 또는 ‘에이 더하기 비’로 호칭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등록상표는 선등록상표와 관념이 동일하고, 선등록상표가 ‘에이 플러스 비’로 호칭될 경우에 호칭도 유사하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