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1월 9일 금요일

[형사재판 영업비밀 산업기술 유출] 삼성 LG AMOLED 기술 유출 혐의를 받은 협력업체에 무죄 확정한 대법원 판결


대법원 2018. 7. 12. 선고 2015464 판결

1.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보호에 관한 법률(여하산업기술보호법이라고 한다) 반에 대한 상고이유에 관하여

. 산업기술보호법 36 1 위반의

산업기술보호법 14조는절취,기망,협박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대상기관의 산업 기술을 취득하는 행위 또는 취득한 산업기술을 사용하거나 공개하는 행위’(1) 산업기술에 대한 비밀유지의무가 있는 자가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대상기관에 손해를 가할 목적으로 유출하거나 유출한 산업기술을 사용 또는 공개하거나 3자가 사용하게 하는 행위’(2) 금지하고 있다. 이를 위반한 자는 36 2항에 의해 처벌되고, ‘산업기술을 외국에서 사용하거나 사용되게 목적으로 14조의 각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자는 36 1항에 의해 가중처벌된다.

산업기술보호법 36 1 위반의 죄는 고의 외에 외국에서 사용하거나 사용되게 목적, 조항이 인용하는 14 2호는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대상기관에게 손해를 가할 목적을 추가적인 범죄성립요건으로 하는 목적범이다. 그리고 형사재판에서 공소가 제기된 법죄와 구성요건을 이루는 사실에 대한 증명책임은 검사에게 있으므로 행위자에게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대상기관에게 손해를 가할 목적 외국에서 사용하거나 사용되게 목적 있었다는 점은 검사가 증명하여야 한다. 따라서, 행위자가 산업기술임을 인식하고 14 호의 행위를 하거나, 외국에 있는 사람에게 산업기술을 보냈다는 사실만으로 그에게 위와 같은 목적이 있었다고 추정해서는 아니된다. 행위자에게 위와 같은 목적이 있음을 증명할 직접증거가 없는 때에는 산업기술 비밀유지의무를 인정할 여러 사정들에 더하여 피고인의 직업, 경력, 행위의 동기 경위와 수단, 방법, 그리고 산업기술 보유기업과 산업기술을 취득한 3자와의 관계, 외국에 보내게 경위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사회통념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원심판결 이유를 법리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사건 공소사실 산업기술보호법 36 1 위반의 점에 대하여 피고인 A, B, C, D, E, F 대해 외국에서 사용하거나 사용되게 목적 피고인 D 대해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기업에 손해를 입힐 목적 관한 증명이 부족하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한 1 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것은 수긍할 있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산업기술보호법 14, 36조에 관한 법리 등을 오해한 잘못이 없다.

. 산업기술보호법 38 위반의

산업기술보호법 38조는 법인의 대표자나 법인 또는 개인의 대리인, 사용인, 밖의 종업원이 법인 또는 개인의 업무에 관하여 36 1항부터 3항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하면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법인 또는 개인에게도 해당 조문의 벌금형을 과한다. 다만 법인 또는 개인이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업무에 관하여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형벌의 자기책임원칙에 비추어 양벌규정은 법인이 사용인 등에 의하여 위반행위가 발생한 업무와 관련하여 상당한 주의 또는 관리감독 의무를 게을리한 때에 한하여 적용된다(대법원 2011. 7. 14. 선고 20095516 판결 참조). 이러한 양벌규정에 따라 법인은 위반행위가 발생한 업무와 관련하여 법인이 상당한 주의 또는 관리·감독 의무를 게을리한 과실로 인하여 처벌된다. 구체적인 사안에서 법인이 상당한 주의 또는 관리·감독을 게을리하였는지 여부는 당해 위반행위와 관련된 모든 사정 , 당해 법률의 입법 취지, 처벌조항 위반으로 예상되는 법익 침해의 정도, 위반행위에 관하여 양벌규정을 마련한 취지 등은 물론 위반행위의 구체적인 모습과 그로 인하여 실제 야기된 피해 또는 결과의 정도, 법인의 영업 규모 행위자에 대한 감독 가능성이나 구체적인 지휘,감독 관계, 법인이 위반행위 방지를 위하여 실제 행한 조치 등을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10. 4. 15. 선고 20099624 판결, 대볍원 2010. 12. 9. 션고 201012069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를 법리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현장 엔지니어인 피고인 A 산업기술 부정사용 공개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고인 G 주식회사가 상당한 주의 또는 관리·감독을 게을리하였다는 점에 대한 증명이 부족하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한 1심을 그대로 유지한 것은 수긍할 있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산업가술보호법 38조에 관한 법리 등을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부정경쟁방지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이하부정경쟁방지법이라고 한다) 위반에 대한 상고이유에 관하여

부정경쟁방지법 18 1 위반의 죄는 고의 외에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기업에 손해를 가할 목적 범죄성립요건으로 하는 목적범이다. 목적이 있었는지 여부는 피고인의 직업, 경력, 행위의 동기 경위와 수단, 방법, 그리고 영업비밀 보유기업과 영업비밀을 취득한 3자와의 관계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사회통념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07. 4. 26. 선고 20065080 판결, 대법원 2017. 11. 14. 선고 20148710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를 법리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판시와 갈은 이유를 들어 사건 공소사실 부정경쟁방지법 위반의 점에 대하여 피고인 A, B, C, D, E, F 대해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기업에 손해를 입힐 목적 관한 증명이 부족하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한 1 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것은 수긍할 있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부정경쟁방지법 18 1항에 관한 법리 등을 오해한 잘못이 없다.

정회목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